![비트코인 ETF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8/485363_452547_3647.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펀드 승인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오는 9월 1일(현지시간)까지 비트와이즈 비트코인 ETP 트러스트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가상자산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비트와이즈의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이 승인되지 않을지라도 뒤를 이어 블랙록, 반에크, 위즈덤트리, 인베스코 등 다수의 비트코인 ETF 상품이 승인 신청을 한 상황이다.
13일 블룸버그는 가상자산 시장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ETF에 대한 SEC 승인 결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여러 소송과 규제에 대한 강력한 정부의 의지를 고려할 때 당장 비트코인 ETF 상품에 대한 승인보다는 또 다시 승인 연기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게 블룸버그의 전망이다.
런던 기반 자산운용사 자코비는 유럽 최초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 이후 약 2년 만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증권거래소인 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에 상장했다.
⦁ 유럽 최초 비트코인 현물 ETF, 네덜란드 증권거래소 상장
15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자코비 FT 윌셔 비트코인 ETF는 금융 서비스 위원회(GFSC) 규제를 받고 있으며 BCOIN이라는 티커로 거래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국에서 이더리움 선물 ETF 출시를 곧 승인할 것이라고 17일 보도했다.
⦁ 블룸버그 "미 SEC, 이더리움 선물 ETF 출시 승인 임박"
블룸버그는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일부 자산운용사들은 이더리움 자체가 아닌 이더리움 관련 파생상품에 연동된 선물 ETF를 신청했는데 이같은 상품 출시가 임박했다고 전했다.
리플랩스가 법원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제기한 중간항소를 기각해달라는 입장문을 16일(현지시간) 제출했다.
⦁ 리플, 법원에 SEC 중간항소 기각 요청 입장문 제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리플 변호인단은 아날리사 토레스 뉴욕남부지방법원 판사에게 제출한 입장문을 통해 SEC가 중간항소를 제기한 이유는 "리플 유통과 관련 증권 판별 기준인 하위 테스트 충족 요소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법원은 SEC의 중간항소를 기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법원에 출석하는 신현성 전 차이코퍼레이션 대표 [사진: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8/485363_452548_5233.jpg)
미국 SEC가 한국에 테라폼랩스 공동 설립자인 신현성 전 차이코퍼레이션 대표를 심문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 16일(현지시간) 제드 라코프 뉴욕남부지방법원 판사는 SEC가 지난 7월 10일 법원에 제출한 신현성 전 대표 심문 협조 요청서 송부를 승인했다. 요청서에 따르면 SEC는 신현성 전 대표에게 권도형 전 대표와의 관계와 차이가 테라 블록체인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테라폼랩스와 차이의 정확한 관계에 대해 질문하고 싶다고 밝혔다.
하루인베스트 회생 심문이 이형수 대표의 불출석으로 인해 속행으로 끝났다.
17일 서울회생법원에서 진행된 하루인베스트 회생 심문엔 118명의 채권자를 대리하는 LKB앤파트너스 측과 하루인베스트 코리아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에이프로 변호사들이 참석했다. 하루인베스트 일부 채권자들도 법정에 참석했다.
SK텔레콤과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폴리곤랩스(Polygon Labs)가 웹3 생태계 조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SK텔레콤 '웹3 서비스' 글로벌로 확대...폴리곤랩스와 협력
SK텔레콤과 폴리곤랩스는 서울 을지로 소재 SK-T타워에서 웹3 생태계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업무협약(MOU)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측은 이날 MOU에서 ▲SK텔레콘이 지난해 공개한 NFT 마켓플레이스 ‘탑포트’(TopPort)와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웹3 지갑이 폴리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폴리곤랩스는 SK텔레콤의 웹3 서비스들이 폴리곤 글로벌 생태계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돕기로 합의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2분기 영업손실 3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금융시스템에 따르면 빗썸은 올해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319억원, 영업손실 34억원, 당기순손실은 8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9%, 영업이익은 91% 감소했다. 반면 당기순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상승하며 개선됐다.
![[사진:클레이튼]](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8/485363_452549_5433.jpeg)
카카오가 개발한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운영을 총괄하는 클레이튼 재단이 오는 9월 4일부터 6일까지 '클레이튼 스퀘어 라운지 2023' 행사를 개최한다.
⦁ 클레이튼 재단, ‘클레이튼 스퀘어 라운지 2023’ 개최
'클레이튼 스퀘어 라운지 2023'은 ‘재단 및 파트너사 발표 세션’, ‘개발자 밋업’, ‘웹 3.0 게이밍 해커톤’ 등 세 가지 행사로 이뤄졌으며, SJ 쿤스트할레에서 오후 2시부터 진행된다.
싱가포르가 최근 빠르게 확산하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15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 싱가포르 중앙은행,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 발표
싱가포르 통화청(MAS)는 지난 2022년 10월부터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대한 규제 방침을 밝힌 바 있으며, 1년에 가까운 내외부 검토 끝에 규제 프레임워크를 밝힌다고 전했다.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출시 1년만에 가상자산 결제 서비스 '바이낸스 커넥트'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주요 상품과 장기 목표에 집중하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서비스는 16일부로 중단된다.
![바이낸스 [사진: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8/485363_452550_5451.jpg)
영국 결제 처리 업체 체크아웃닷커이 바이낸스와 협력을 종료했다고 포브스 등 외신들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체크아웃닷컴, 바이낸스와 협력 중단...바이낸스 "법적 대응 검토"
포브스에 따르면 체크아웃닷컴은 각국 규제 당국들 조치 및 명령에 대한 보도들과 파트너들 문의 그리고 자금세탁방지, 컴플라이언스 통제 등에 대한 우려들을 고려해 바이낸스와 관계를 정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바이낸스 대변인은 "체크아웃이 지원 종료 근거로 든 것들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면서 "법적인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하드웨어 지갑 업체 렛저가 온라인 결제 업체인 페이팔과 협력을 맺었다. 렛저 라이브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이 가상자산을 보다 쉽게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 페이팔, 하락장에도 크립토 사업 공격 행보...스테이블코인 내놓고 렛저와도 제휴
이번 협력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은 페이팔 계정을 사용해 렛저 애플리케이션에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들을 구입할 수 있다.
대체불가토큰(NFT) 마켓 플레이스의 대표 주자 오픈씨(OpenSea)가 NFT 창작자에 대한 로열티 정책을 폐기한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 오픈씨, NFT 창작가 로열티 정책 폐기로 논란 촉발
오픈씨는 17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NFT 작품이 판매될 때마다 원작자가 수익 일부를 받을 수 있는 로열티 정책인 '오픈씨 오퍼레이터 필터'(OpenSea Operator Filter)를 폐기한다고 발표했다. 판매 수수료를 강제 징수하는 현재 방식에서 선택적 징수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 변경된 로열티 정책은 2024년 3월부터 시행하며 이후 8월부터는 기존 작품과 새로운 NFT 작품 모두 로열티 징수를 완전히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로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 위키미디어]](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8/485363_452551_5514.jpg)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전에 밝혀진 것보다 더 많은 가상자산을 소유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블록체인 전문매체 코인데스크가 16일(현지시간) 전했다.
⦁ 암호화폐 싫다던 트럼프…암호화폐 보유량만 37억원 어치
최근 비영리 단체인 워싱턴의 책임과 윤리를 위한 시민회(CREW)가 받은 공식 문서에 따르면, 트럼프는 8월 초 기준으로 280만달러(약 37억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스페이스X가 지난 2021년부터 인수한 약 3억7300만달러(약 4985억8900만원) 상당의 비트코인(BTC)을 판매했다.
17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지난 2021년과 2022년 3억7300만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기록했으나, 이후 매각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체크아웃닷컴, 바이낸스와 협력 중단...바이낸스 "법적 대응 검토"
- 웹3 게임 진입 장벽 낮추는 애플·구글…원스토어도 잰걸음
- 블룸버그 "미 SEC, 이더리움 선물 ETF 출시 승인 임박"
- 스페이스X, 5000억원 상당 비트코인 팔았다
- 페이팔, 하락장에도 크립토 사업 공격 행보...스테이블코인 내놓고 렛저와도 제휴
- 암호화폐 싫다던 트럼프…암호화폐 보유량만 37억원 어치
- SK텔레콤 '웹3 서비스' 글로벌로 확대...폴리곤랩스와 협력
- 바이낸스, 가상자산 결제 서비스 중단
- 유럽 최초 비트코인 현물 ETF, 네덜란드 증권거래소 상장
- 빗썸, 2분기 영업손실 34억원…적자 전환
-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통해 디파이 시장도 진출"
- 블룸버그 "비트코인 현물 ETF 연내 승인 확률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