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는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지표로, 해당 국가의 경제력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국가 경제력 지표는 생산 인구를 기준으로 한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 총생산)이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의 성장과 국제 무역의 확대로 인해 생산자 기준 측정이 무의미해지면서, 재화와 서비스가 생성된 지역을 기반으로 한 GDP가 경제 규모를 측정하는 데 더 적합하다는 판단 아래 더 쓰이게 됐다.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량이 많은 국가일수록 경제력도 높기 때문.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 재화와 서비스를 결정하는 요소가 데이터로 수렴되면서 새로운 경제 지표를 요구하고 있다. 바로 ‘국내 데이터 총생산(Gross Data Product, 이하 GDP)’이다. 

데이터는 '재화와 서비스'의 원천...“앞으로 다가올 경제의 연료”

맥킨지에 따르면, 2030년까지 데이터 경제가 13조 달러(약 1경 5,297조)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데이터를 활용하는 산업군 규모를 측정한 것으로, 원천 데이터를 고려하면 거의 모든 경제 산업이 데이터 경제에 포함된다. 기업의 데이터 보유 여부 곧 재화와 서비스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즉, 경제력 측정 기준이었던 ‘재화와 서비스’가 좀 더 근원적인 ‘데이터’로 바뀐다는 것.

데이터 생산력을 경제력 지표로 처음 제안한 이는 미국 플레처 스쿨의 바스카르 채크라보르티(Bhaskar Chakravorti) 교수다. 그는 HBR 기고를 통해 “(산업 혁명 시대) 석유 생산이 경제력 창출했듯 데이터도 비슷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데이터는 앞으로 다가올 경제의 연료”라고 강조했다.

물론 국가 지표로서 GDP는 단순히 데이터 생산량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채트라보르티 교수는 GDP를 구성하는 4가지 요소로 ▲ 생산량(Volumn) ▲ 사용량(Usage) ▲ 접근성(Accessibility) ▲ 복잡성(Complexity)를 든다. 여기서 복잡성 요소는 개인의 데이터 생산 지수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1인당 소득’과 비교될 수 있다.

새로운 데이터 지표로 국가 경제력 순위를 분석해보면 새로운 세계 질서가 보인다.

1. 미국
2. 영국
3. 중국
4. 스위스
5. 한국
6. 프랑스
7. 캐나다
8. 스웨덴
9. 호주
10. 체코
11. 일본
12. 뉴질랜드
13. 독일
14. 스페인
15. 아일랜드               
16. 이탈리아
17. 포르투갈
18. 멕시코
19. 아르헨티나
20. 칠레
21. 폴란드
22. 브라질
23. 그리스
24. 인도
25. 남아프리카공화국
26. 헝가리
27. 말레이시아
28. 러시아
29. 터키
30. 인도네시아

미국은 새로운 GDP 순위에서도 1위를 유지하지만, 다른 G2인 중국은 3위로 밀려난다. 데이터 접근성에서 핸디캡을 가졌기 때문. 게다가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중국 네트워크 안전법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이 생산하는 장애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중국이 쏟아내는 방대한 원시 데이터량은 여전히 강력하다.

소규모 국가의 부상도 눈에 띤다. 과거 네덜란드가 자유무역으로 세계 경제 패권을 잡았던 것처럼 데이터 역시 하나의 자원으로서 개방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면 강력한 경제력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 

우리나라도 국내총생산의 GDP 지표로는 세계 12위지만, 데이터생산의 GDP 기준으로 5위를 차지한다.

데이터 FTA도 실현 가능해

또 FTA처럼 국가가 데이터 자유무역협정도 가능하다. 절대적인 데이터 생산량은 거대 국가에 비해 부족하지만, 접근성이 높은 국가들이 모여 경제 조합을 구성하는 것이다.

채트라보르티 교수는 “국가들은 데이터 접근성이 보장된 국가와 데이터 무역 협정을 수립함으로써 이익을 얻고 사용자 수 또는 국가 내에서 소비되는 총 광대역의 관점에서 자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며, “오늘날 자유롭게 거래되는 다른 제품처럼 데이터가 가치를 지니게 될 때 그 가능성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
좌측 상단에 모인 국가들은 절대적 데이터량은 부족하지만 높은 데이터 접근성을 통해 데이터 거래 연합을 구축할 수 있다.
(사진=HBR, 소스=유로모니터, 시스코, ITU, 글로벌오픈데이터 인덱스, CNIL, 플래처 스쿨, 터프트스 대학, 마스터카드)

우리나라도 세계 경제 질서의 데이터 중심 재편에 대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월 2019년을 데이터 경제 인프라 구축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데이터·AI 경제 활성화 위한 5개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는 5G 통신 기반 위에 데이터 경제를 구축한다는 전략으로, ’19년에만 1조 원 가량, 오는 2023년까지 약 7조 7500억 원이 투입한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데이터는 21세기의 원유로서,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이전에 발견하지 못했던 수많은 가치들을 창출할 수 있다”며, “데이터가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고 우리 산업을 일으키고, 데이터 구축에서 활용에 이르는 전 주기에 걸친 혁신 정책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료=합동부처, KISTI)
정부 데이터 경제 활성화 전략 (자료=합동부처, KISTI)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