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관련 해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가상자산 시장에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가상자산 관련 해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가상자산 시장에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를 노린 해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고(故)김정주 넥슨 창업주 겸 NXC 회장의 가상자산 계좌에서 사후 85억원 가량의 가상자산이 해킹된 사실이 알려졌다. 

⦁  넥슨 창업주 故김정주, 사후 가상자산 계좌에서 85억원 해킹

지난해 5월 해킹 범죄 조직 일당인 장모씨 등은 유심(USIM·가입자 식별 장치)을 불법 복제하는 방식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에 개설된 김 전 회장의 계좌에서 10일 간 총 27차례에 걸쳐 85억원 상당의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을 탈취했다.

코빗 측은 2022년 2월 사망한 김 전 회장의 계좌에서 대량의 거래가 발생한 것을 수상하게 여겨 같은해 6월 수사기관에 고발했다. 이후 장씨는 검거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로 기소됐고 서울동부지법은 1심 재판에서 장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다. 

코빗 관계자는 "코빗이 주체가 되어 수사기관에 해당 사실을 고발한 것은 맞다. 더 자세한 사항은 확인이 어렵다"고 말했다. 

김정주 NXC 이사 [사진: 넥슨]
김정주 NXC 이사 [사진: 넥슨]

또 지난달 26일 블록체인 분석 업체 오케이링크(OKLink)는 가상자산 지갑 서비스인 비트킵(BitKeep)의 일부 계정이 해킹을 당해 가상자산이 도난당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 "개인 지갑도 안전하지 않아" 비트킵 해킹으로 100억원대 피해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보안기업 펙쉴드(PeckShield)는 비트킵 지갑 해킹으로 도난당한 가상자산이 이더리움 1233.21ETH, 바이낸스코인 4373BNB, USDT 540만개, DAI코인 19만6000개로 800만달러(약 100억원)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해킹은 앱 권한을 탈취한 해커가 지갑 초기화를 진행하고 사용자가 초기 암호인 시드 단어를 다시 입력하도록 유도한 다음 지갑에 담긴 자신을 외부로 인출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국가정보원도 북한의 가상자산 해킹을 경고한 바 있다.

국정원은 경기도 판교 제2테크노밸리 소재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를 언론에 공개하고 최근 해킹 동행과 내년 전망을 발표했다.

⦁ “북한 가상자산 해킹 세계 최고 역량...올해 8000억 탈취”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이 금융기관, 가상자산 등을 해킹해 2017년 이후부터 1조5000억원 이상을 탈취했다. 올해는 8000억원 정도를 탈취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국내 피해는 1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의 가상자산 해킹은 3단계로 진화했다. 2017~2018년 북한은 취약점이 노출된 가상자산 거래소 서버를 해킹하거나 거래소 직원 대상 해킹 메일을 발송해 PC를 점거하고 협박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이어 2018~2021년 사이에는 가상자산 거래 소프트웨어에 악성코드를 심고 개인투자자의 보유 가상자산을 직접 탈취했다. 북한은 2021년부터 탈중앙화금융 디파이 서비스 공격에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향후 북한이 디파이에 대한 지속적인 해킹 공격과 함께 가상자산을 탈취할 수 있는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등 웹3.0(탈중앙화 웹) 플랫폼으로도 공격을 확대할 것으로 예측했다.

도지코인(DOGE) [사진: 셔터스톡]
도지코인(DOGE) [사진: 셔터스톡]

가격 변동성이 심한 밈코인(meme coin)들 중 하나인 도지코인이 합의 메커니즘을 현재 작업증명(proof-of-work: PoW)에서 지분증명(proof-of-stake, PoS)으로 전환할 것이란 루머 속에 가격 하락세를 보였다.

⦁ 도지코인도 PoS로 전환? 관련 루머 속 가격 하락

코인게코 데이터를 인용한 31일(현지시간) 디크립트 보도를 보면 도지코인 가격은 지난 일주일 간 13% 하락했다. 최근 24시간 동안에만 6% 하락했다.

디크립트에 따르면 최근 소셜 미디어들에선  도지코인이 PoW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PoS로 합의 메커니즘을 전환할 것이란 루머가 돌고 있다. 

국내 대체불가토큰(NFT) 프로젝트 메타콩즈가 지난달 30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이강민 현 대표이사 해임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부결됐다. 

⦁ 메타콩즈 대표 해임안 부결…"1월 4일 또 이사회 개최"

이강민 대표 측과 경영권 다툼을 벌이고 있는 멋쟁이사자처럼은 오는 1월 4일 다시 이사회를 열어 해임건을 다루기로 했다.

이강민 대표 해임안은 표결 결과 출석 주주의 3분의 2이상이 찬성하지 않아 상법 제385조 제1항 본문 및 제434조 규정에 따라 부결됐다.

[사진:페이코인]
[사진:페이코인]

지난달 30일 가상자산 결제 서비스 페이코인이 은행 실명계좌 발급에 실패,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기한연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 페이코인 실명계좌 발급 못받아..."FIU에 기한 연장 신청"

FIU는 다른 업체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기한연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기한 연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 페이코인은 결제 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중 71.1%가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지난달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3'을 발표했다. 

⦁ 하나금융연구소 "가상자산 투자자 중 71% 손실"

하나금융연구소는 서울 및 수도권, 전국 광역시에 거주 중인 만 20세~64세 남녀 5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자들 중 10% 이상 손실을 봤다는 응답률이 전체의 71.1%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10% 이상 이익을 봤다는 응답률은 26.8%, 수익을 유지 중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1%로 각각 집계됐다.

자본시장연구원이 "국내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에 대비해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29일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스테이블코인의 리스크와 정책 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 자본시장연구원 "스테이블코인 국내 시장 확대 대비해야"

장 연구위원은 "테라 붕괴는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에 대한 믿음이 근본적으로 흔들리는 계기가 됐다. 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 뿐만이 아니라 (테더와 같은) 법화자산 담보형에서도 여러 문제점들이 드러나면서 스테이블코인 내외부적인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발행된 가상자산은 대다수 유틸리티 코인으로 가상자산 발행 업체가 전체 물량의 81.9%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금감원 "가상자산 보유 상장사 37곳...발행 코인은 9종"

지난달 2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된 '가상자산 회계·감사·감독 이슈 세미나'에 참석한 김경률 금융감독원 회계관리국 국제회계기준팀 팀장은 이같이 말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2022년 6월 말 기준 국내 상장회사가 해외 자회사를 통해 발행한 가상자산은 총 9종이다. 이중 대다수는 게임, 포털 등 플랫폼 사용 수단으로 개발된 유틸리티 코인이다.

가상자산 채굴 업체가 위기를 겪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가상자산 채굴 업체가 위기를 겪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FTX 파산, 비트코인 급락 등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 악화에 채굴 업계가 고사 위기에 몰렸다. 

업계에 따르면 나스닥에 상장한 다수의 가상자산 채굴 업체가 파산 신청을 하거나 상장 폐지 경고를 받았다.

⦁ 가상자산 한파에 채굴업계 고사 위기...파산·상폐 잇따라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대형 비트코인 채굴 업체 코어사이언티픽은 미국 텍사스 남부파산법원에 챕터11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코어사이언티픽의 부채는 최소 10억달러(1조2760억원)에서 최대 100억달러(12조7600억원)로 채굴 업체 파산 중 가장 큰 규모다. 

미국 정부가 가상자산에 대해 전통 금융권 수준의 ‘동일 규제’ 원칙을 적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미 가상자산 규제 고삐..."전통 금융권 수준 강화할 듯"

최근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의 가상자산 규제 현황과 향후 전망’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테라 루나 사태와 FTX 거래소 파산 등으로 가상자산 규제의 고삐를 조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미국 정부의 기존의 가상자산 규제 강화 추세가 FTX 사태를 계기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해당 규제들이 가상자산을 전면 금지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기 보다는 전통 금융 시장과 동일한 수준의 규제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전망이다”고 밝혔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