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권이 최신 가상자산 동향과 이슈를 분석하며 공부하고 있다. 과거 블록체인 기술은 수용하고 가상자산에 일정 부분 거리를 뒀던 것과 달리 이제는 직접적으로 가상자산 이슈를 분석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경영연구소, 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센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등이 가상자산 관련 분석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KB경영연구소는 최근 ‘비트코인을 바라보는 금융의 시선’과 ‘이더리움을 바라보는 금융의 시선’ 보고서를 공개했다.

KB경영연구소는 비토코인이 무엇인지, 비트코인을 둘러싼 익명성, 투자, 규제, 탈중앙화 등 이슈와 논란은 무엇인지 분석했다. 연구소는 이더리움과 관련해서도 스마트 컨트랙트와 이더리움 2.0 등을 소개하고 디파이(DeFi)도 설명했다.

다른 연구기관들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지난 8월 가상자산 겨울(크립토 윈더) 상황에서 글로벌 은행들의 대응 현황을 분석했다. 국제금융센터는 금융안정, 국제금융 등을 전문으로 분석하는 연구기관인데 가상자산 침체 문제를 연구했다.

금융연구원은 지속적으로 가상자산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올해 7월 금융연구원은 정기 보고서인 금융브리프에서 ‘영국 정부의 글로벌 디지털자산 기술 허브 육성 계획’, ‘일본 정부, 암호자산 관련 외환법 개정’, ‘미국 및 일본 민간은행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실험’ 3가지 분석을 내놨다.

또 8월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의 잠재적 위험과 규제체계 필요성’을 분석했으며, 9월에는 ‘은행에 대한 디지털자산 관련 자기자본 규제 방안과 영향’, ‘투자상품으로서 NFT(대체불가능토큰)에 대한 우려’, ‘가상자산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소개했다. 최근 평균적으로 1달에 2~3건의 가상자산 관련 분석을 내놓는 것이다.

금융연구원은 지난달 29일 핀테크 위크 코리아 2022와 연계한 행사 주제도 가상자산 관련 정책방향으로 정했다.

자본시장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는 자본시장연구원도 가상자산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9월 자본시장연구원은 ‘글로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사업 현황’ 보고서를 내놨다. 또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자본시장포커스 9월 5일자에서도 ‘EU의 가상자산시장(MiCA) 법안의 주요 내용’를 분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도 8월  하나금융포커스에서 '글로벌 디지털자산 법제화 가속화와 금융업 '을 소개했다.

금융기관들은 이전부터 블록체인 이슈를 분석해 왔지만 최근에는 직접적으로 가상자산 이슈를 다루고 있다. 과거 가상자산에 대해 일정 부분 거리를 두거나 분석을 금기시했던 것과는 분위기가 달라진 것이다.

이는 가상자산이 점차 제도권으로 진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금법) 개정안을 적용하면서 가상자산 사업자들의 신고를 받았다. 

최근에는 가상자산을 규율하는 단독 법안 제정이 논의되고 있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주현 위원장은 “국회에 가상자산 관련 법안이 14개 정도 계류돼 있는데 관련 논의를 시작하면 적극 참여 하겠다”고 밝혔다. 또 미국, 유럽 등에서도 가상자산 관련 법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금융권이 향후 가상자산 법제화, 제도화 등이 추진될 때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상자산 배우기에 돌입했다는 관측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