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7일 국가정보원이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내용을 카드뉴스로 만들어 공개했다. 출처: 국가정보원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악용한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등이 활기칠 조짐이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올해 1~2월 중 적발된 사기 이용 금융계좌만 약 6000개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상가상으로 3월부터는 코로나19 등과 관련된 금융사기가 확산되고 있어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24일 금융감독원과 경찰청이 운영하는 보이스피싱 지킴이 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 사기에 이용된 것으로 적발돼 자금이 압수된 금융계좌가 5933개였다.

정부는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등에 이용된 금융계좌를 2개월 동안 공고하고 소명이 되지 않을 경우 사기 이용 계좌로 간주해 계좌의 자금을 피해자 등에게 지급하고 있다. 1월 3일을 의심 계좌를 공고한 후 3월 4일 확정하는 식이다.

1월에는 3일 903개, 10일 872개, 17일 1017개, 23일 864개, 31일 639개 등 총 4295개가 사기 금융계좌로 확정됐다. 이어 2월에는 7일 501개, 14일 489개, 21일 648개 등 1638개의 사기 금융계좌가 확인됐다.

사기에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시중 은행들 뿐 아니라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 계좌도 다수 사용됐다. 또 새마을금고, 우체국금융, 농협조합은 물론 미래에셋대우, KB증권, 유안타증권, 삼성증권 등 증권사 계좌도 이용되고 있다. 

사기에 이용된 계좌에는 수천만원이 동결된 사례도 많아 보이스피싱 등으로 인한 피해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1, 2월에 확인된 사기계좌가 5933개였지만 1계좌당 여러명에서 수십명의 피해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수만명이 사기를 당했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이 수치는 금감원, 경찰에 적발된 것으로 신고되지 않은 피해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은 코로나19 등과 관련해 올해 3월부터 금융사기가 더 기승을 부렸기 때문에 3월 이후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금감원은 올해 3월 11일 코로나19와 관련해 마스크, 손소독제 구매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또 3월 30일에는 코로나19 상황을 틈탄 불법대출 관련 소비자경보가 나왔고, 다시 4월 8일에는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가장한 보이스피싱이 확산되면서 소비자경보가 또 발령됐다.  

국가정보원도 이례적으로 최근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사기를 연이어 경고하고 있다. 4월 초 국정원은 코로나19 상황에 편승한 금융, 사이버사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카드뉴스를 통해 경고했다.

국정원은 4월 17일 보이스피싱 예방 10계명, 8대 사기유형 등 카드뉴스를 공개했다. 4월 23일에는 코로나19 스미싱 피해예방 행동수칙도 발표했다. 국정원은 금융회사를 사칭해 전화나 문자로 저금리 대환대출을 권유하거나 가짜 금감원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해 금융정보를 빼내고 있다고 경고했다. 또 검사를 사칭해 피해자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이용됐다며 특정계좌로 이체를 요구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여파로 국민들의 경제적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대출이나 금융지원 등을 미끼로 한 보이스피싱이 3~4월 들어 더욱 활개를 치고 있는 것이다.

실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징조도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는 4월 10일 재난기본소득 안내를 가장한 보이스피싱 사례가 발생했다고 경고했다. 구리시에 사는 주민에게 재난소득 안내를 사칭한 전화가 걸려왔다는 것이다. 이에 경기도는 관련 내용을 경찰과 공유하고 도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4월 20일에는 전라남도 영광군이 코로나19 관련 스미싱이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했다. 영광군은 ‘긴급재난자금 상품권이 도착했습니다’라는 내용과 인터넷주소 링크가 첨부된 스미싱 문자가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이 가짜 문자의 링크를 누르면 악성코드 앱이 설치돼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고 한다.

강릉시는 4월 22일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출처: 강릉시

또 강릉시는 4월 22일 공지를 통해 최근 보이스피싱 등으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관심과 주의를 당부했다.

강릉시는 실제 피해 사례도 소개했다. 은행을 사칭해 저금리 대출을 위해 기존 대출을 상환하면 신용도가 올라간다고 속여 수천만원을 갈취한 사건이 있었다. 또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며 금감원 등을 사칭해 예금보호를 명목으로 돈을 가로채기도 했다. 검사를 사칭해 부정계좌와 연루됐다고 속인 후 가짜 검사신분증 사진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들 사례는 실제 강릉경찰서에서 확인한 내용이라고 한다.

이같은 사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정부와 금융기관들은 전화를 통해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거나 타인계좌로 이체, 금융자동화기기(ATM) 사용을 유도할 경우 사기이기 때문에 이에 응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 만약 사기를 당해 돈을 송금한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해당 금융기관에 연락해 계좌를 동결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금융계좌를 빌려주면 돈을 준다고 유혹하는 것은 모두 범죄에 이용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로 응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