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국제결제은행(이하 BIS)에서 가상통화(가상화폐)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해 분석을 내놨다.

지난 6월 24일 발간한 「BIS Annual Economic Report 2018」에서는 가상통화의 경제적 한계와 그 이유, 블록체인의 활용 가능성과 정책적 시사점 등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BIS는 네 가지 이유를 들어 가상통화의 경제적 한계점을 설명했다. 

첫 번째 이유는 가상통화의 채굴 과정에서 소모되는 엄청난 에너지다. 블록체인 참가자들을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수학적 암호 알고리즘을 풀면서 경쟁적으로 컴퓨터 자원을 투입하게 된다. 그런데 채굴 나이도가 높아질수록 전력소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차후 그로 인한 환경적 재난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기존 거래와 비교했을 때, 가상통화의 거래 처리 수는 미비하다 (사진=BIS 보고서)
기존 거래와 비교했을 때, 가상통화의 거래 처리 수는 미비하다 (사진=BIS)

두 번째 이유는 확장성의 문제다. 가상통화는 제도권 통과와는 달리, 거래가 축적될수록 검증시간이 늘어난다. 따라서 슈퍼 컴퓨터만 처리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 버려 인터넷 마비가 올 것이라 예상했다. 게다가 제한된 수의 거래만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거래 수수료가 부과되고, 계약 미체결 상황도 발생한다고 봤다. 거래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가상통화의 이용이 불편해지는 것이다.

세 번째 이유로는 가치의 불안정성을 들었다. 발행량이 미리 정해진 가상통화는 발행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가치를 조절할 수 없다.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가치 보장에 대한 우려가 항상 존재한다. 원천적으로 불안정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것이다. 

마지막 이유로, 깨지기 쉬운 신뢰 구조를 들었다. 장부 조작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채굴자의 과반수 동의 시 조작이 가능하고, 검증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가상통화의 신뢰 구조는 쉽게 무너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새로운 원장을 신설하는 절차인 포크 시 위험성이 크다는 점 또한 불안 요소로 들었다. 2013년 초 비트코인은 하드포크가 발생한 당시 코인 가격은 1/3로 하락했으며, 거래도 수 시간 동안 무효화 되었다.

주요 가상통화와 금의 가치 변동성
금(노란 선)과 비교했을 때, 주요 가상통화와 가치 변동성은 상당히 높다. (자료=BIS)

BIS 보고서는 가상통화가 ‘국가 간 송금’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2016년 기준으로 국가 간 연간 송금액은 약 5400억 달러(약 607조 원)에 달한다. 

특히 무역 거래 등 복잡한 거래 절차가 필요한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면 간편한 자동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보고서는 그 사례로, 월드 푸드 프로그램(World Food Program)이 시리아 난민을 위한 식료품 쿠폰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한 이더리움 플랫폼을 들었다. 이더리움 플랫폼을 통해 약 98%의 송금비용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관리 정책과 관련해서는 우려 섞인 견해를 냈다. 보고서는 가상화폐가 가진 익명성을 악용한 불법 ‘자금세탁’과 과도한 열기로 인해 해킹, 사기성 ICO에 따른 투자자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더불어 장기적으로 금융 안정성 또한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보고서는 국제적 공조를 통해 규제의 경계를 재정비하고, 기존 통화와의 교환하는 가상통화와 금융기관과의 상호연계성을 감안하여, 일관성 있는 제도의 지속적인 추진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