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이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 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7547_562960_555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AI 챗봇이 친구나 연인처럼 행동하며 인간관계를 넘보고 있다.
24일(현지시간)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AI 챗봇이 이상적인 친구, 연인, 부모, 상담사 등 원하는 역할을 설정할 수 있게 하며 점점 더 인간적인 대화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제는 이러한 친밀감이 단순한 편의를 넘어 사용자 의존과 개인정보 노출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AI가 인간처럼 대화할수록 신뢰가 높아지며, 이는 사용자가 챗봇에 의존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일부 주 정부는 이를 규제하기 시작했다. 뉴욕은 AI 동반자 기업에 자살 충동 표현을 보고하도록 요구했고, 캘리포니아는 아동 보호를 위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여전히 법의 사각지대에 남아 있다.
AI 챗봇은 사용자의 일상과 내면의 생각, 민감한 질문까지 수집하며 이를 기반으로 더욱 강력한 대화 모델로 발전한다. 이러한 데이터 축적 구조가 기업의 수익 모델과 맞물리면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실제로 메타가 AI 챗봇을 활용한 광고 노출 계획을 밝힌 가운데, 보안업체 서프샤크 조사에서는 애플 앱스토어 내 AI 동반자 앱 5개 중 4개가 사용자·기기 ID 등을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챗봇 대화는 기업의 데이터베이스로 축적돼 광고주와 데이터 브로커에게 활용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AI가 이미 인간보다 설득력이 높다는 연구 결과다. 정치적 견해나 음모론, 백신 태도 등 민감한 분야에서도 사람들의 생각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 확인됐다. 결국 인간처럼 공감하는 챗봇, 여기에 사용자 정보가 결합되면 기업은 소비자를 더 정교하게 조종할 수 있는 도구를 손에 넣게 된다. 즉, 개인정보 수집을 통해 향상된 AI가 다시 수익 창출 도구로 활용되는 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생성형 AI, 인간 심리적 안전 지킬까…새로운 벤치마크 등장
- 질문이 틀렸으니 원하는 답이 나올리가…'AI 프롬프트' 꿀팁 4가지
- 이것만큼은 금물…AI 챗봇 시대 이용자 필수 10계명
- 앤트로픽, 클로드 AI 정치적 편향 줄인다…오픈소스 툴 개발
- 中 테슬라·볼보·벤츠, 차량용 AI 챗봇 첫 외국 기업 승인
- 애플, AI 건강 챗봇 개발 중…'헬스+' 구독 서비스 출시 전망
- AI 챗봇 때문에 정신건강 악화?…오픈AI·앤트로픽 대책 마련
- 캐릭터AI, 18세 미만 챗봇 사용 제한…AI 안전성 논란 대응
- 美 AI 챗봇 규제법안 발의…애플 변화 불가피
- AI 챗봇, 인간보다 50% 더 아첨한다…새 연구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