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HGX H200 텐서 코어 GPU [사진: 엔비디아]](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7048_562525_14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상무부가 엔비디아의 H200 AI 가속기 중국 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23일(현지시간) IT매체 폰아레나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중국, 특히 군사 부문이 강력한 AI 칩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H200 등 최상위 AI 칩 판매를 금지했으나, 이 조치는 화웨이가 자국 내 AI 가속기 사업을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면서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엔비디아 H200은 현재 미국이 중국으로 수출을 허용하는 최고 성능 AI 칩인 H20보다 두 배 강력하며,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고성능 컴퓨팅(HPC) 용도로 설계됐다. 141GB HBM3e 메모리와 4.8TB/s 메모리 대역폭을 갖춘 H200은 TSMC 4nm 공정으로 제조되며, 호퍼(Hopper) 코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4월 엔비디아 H20의 중국 판매를 금지했다가, 몇 주 만에 이를 철회한 바 있다. 최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휴메인(Humain)과 아랍에미리트 G42에 엔비디아 차세대 블랙웰(Blackwell) AI 칩 7만개 수출을 승인했다.
엔비디아 경영진은 수출 제한으로 인해 중국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중국 내에서는 수출 제한이 없는 다른 국가의 경쟁사들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특히 화웨이는 어센드(Ascend) 910C AI 가속기를 통해 자국 내 AI 모델 학습용 제품을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한 분석에 따르면 화웨이 어센드 AI 가속기는 중국 AI 가속기 시장에서 약 7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엔비디아 호실적 무색…AI·기술주, 11월 최악의 하락세
- 엔비디아 여파로 아시아 반도체 급락...소프트뱅크 10% 폭락
- 엔비디아 어닝 서프라이즈 하루 만에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 코스피, '엔비디아 효과'에 강세....4000선 복귀
- 엔비디아, AI 데이터센터 재구성…네트워크가 성능 좌우
- 엔비디아, 신규 오픈 모델 제품군 '아폴로' 공개...산업 설계 프로세스 정조준
- 엔비디아, AWS·구글·마이크로소프트·OCI와 AI 추론 가속화 협력
- 엔비디아, 로컬 AI 에이전트 '하이퍼링크' 공개…PC 데이터 완전 보호
- AI 붐 승자 맞나…세계적 투자자가 엔비디아를 경계하는 이유
- "GPU 수명 짧다는 건 옛말"…AI 팩토리 시대 'GPU 감가상각' 논쟁
- 엔비디아, 구글 AI 칩 도전에 정면 반박…"우리가 한 세대 앞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