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랩스 유럽 AI for robotics 워크숍 현장 [사진: 네이버]](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7021_562491_1627.png)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네이버랩스 유럽은 지난 20일과 21일(현지시간)까지 양일간 제4회 'AI for Robotics'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워크숍은 '공간지능(Spatial AI)'을 주제로 진행됐다. 공간지능 개념을 처음 제안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앤드류 데이비슨 교수를 포함해 150여명의 연구자가 참석해, 공간지능이 로봇의 인지·판단·행동 능력을 어떻게 고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신 연구를 공유했다.
공간지능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넘어, 사물이나 사람의 위치, 움직임, 관계 등을 바탕으로 현실 세계의 맥락까지 이해하는 AI 기술이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은 3D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델링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더 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 유럽의 마틴 휴멘버거 연구소장은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연구 방향을 소개하며 새로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기존 모델의 개선·통합을 통해 비전문가도 실제 환경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지능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랩스는 이번 워크숍에서 로봇의 공간 및 사람 이해 능력을 한층 확장하는 AI 모델 '더스터2(DUSt3R-2)'와 '애니(ANNY)'를 소개했다.
2023년 12월 최초 공개된 더스터는 한 장의 사진만으로 공간을 3D로 재구성하는 3D 비전 모델이다. 이를 로봇에 적용하면 사전에 제작된 지도 없이도 로봇이 새로운 공간을 빠르게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번에 소개된 차세대 모델 '더스터2'는 다양한 파생 연구를 통합하고 상용화를 고려한 버전으로, 로보틱스는 물론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동환 네이버랩스 리더는 "네이버랩스는 2016년부터 공간지능과 물리지능(피지컬 AI) 연구에 집중해 왔으며, 1784를 비롯한 국내외 테스트베드에서 기술을 실증하고 실제 서비스에 적용해온 전례 없는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무대에서 연구 성과를 적극 공유해 생태계를 확장하는 한편, 로봇을 위한 AI 연구·개발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