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사진: 셔터스톡]
비트코인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암호화폐) 가격이 폭락하면서 시장이 충격에 휩싸였다. 최악의 11월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비트코인이 8만2000달러까지 하락하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대규모 청산 사태가 다시 발생했다고 더블록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비트코인, 8만2000달러까지 하락...하루새 20억달러 강제 청산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21일 하루 강제 청산된 레버리지 포지션 규모는 약 20억달러에 달하며, 전체 39만6000여명 트레이더가 포지션을 잃었다. 단일 청산 규모로는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탈중앙거래소에서 발생한 3678만달러 규모 BTC-USD 포지션이 가장 컸다고 더블록은 전했다.

가격 하락 속에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2조9000억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지난 봄 이후 처음으로 3조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비트코인(BTC)이 10월에 마감된 월별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11월 들어 6년 만에 최악의 실적을 기록할 위기에 처해 있다.

⦁ 비트코인, 6년 만 최악의 11월…'문벰버' 신화 무너지나

1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 크립토 베이직에 따르면 11월은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이 2013년 이후 평균적으로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한 달이었다. 

이더리움이 전고점 대비 30% 급락하며 3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디지털 자산 신탁(DAT) 기업들이 심각한 손실을 입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 이더리움 3000달러 붕괴…투자 기업들, 1년치 수익 증발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 샤프링크(SharpLink),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등 주요 DAT 기업들이 보유한 이더리움 가치가 급락하며 수익성이 악화됐다.

밈코인 시장이 2025년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 밈코인 시총, 하루새 50억달러 증발...연중 최저치

21일(현지시간) 코인마켓캡 데이터를 인용한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밈코인 시가총액은 394억달러로 급락했다. 24시간 만에 440억달러 규모에서 50억달러가 증발했다. 이는 올해 1월 5일 기록한 1167억달러 대비 66.2% 감소한 수치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가 비트코인 하락의 주요 원인을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11월말 기준 8만4685달러 수준에서 거래되며, 22.7% 하락했다. 이는 2022년 6월 테라(LUNA) 사태 이후 최악의 월간 하락세다. 

⦁ 톰 리, 비트코인 하락의 핵심 요인 분석…"10월 10일 충격 여파"

2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 크립토 베이직(thecryptobasic)에 따르면 리는 10월 10일 발생한 시장 충격이 이번 하락세의 핵심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네이버(왼쪽)와 두나무 로고 [사진: 각 사]
네이버(왼쪽)와 두나무 로고 [사진: 각 사]

네이버의 두나무 계열사 편입 절차가 11월 26일 양사 이사회를 거쳐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 네이버–두나무, 내주 이사회서 합병 절차 돌입…지배구조 변화 예고

19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26일 각각 이사회를 소집해 포괄적 주식교환 안건을 심의할 예정이다. 양사는 주식교환 방식으로 합병을 추진한다. 네이버의 금융계열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주식을 교환하면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자회사가 되고, 네이버 입장에서는 손자회사를 확보하게 된다.

탈중앙화 금융(DeFi) 대출 시장이 빠르게 확산되며 전체 암호화폐 대출 시장에서 절반 비중을 넘어섰다.

⦁ 디파이, 암호화폐 담보 대출 시장 절반 넘어...중앙화 서비스들 제쳐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 보고서에 따르면 디파이 대출 규모는 올해 3분기 410억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2021년 최고치보다 40억달러 이상 많은 수치이며, 전분기 대비로는 55% 급증한 것이다.

비탈릭 부테린 가상 이미지 [사진: Reve AI]
비탈릭 부테린 가상 이미지 [사진: Reve AI]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개발자들에게 양자컴퓨터가 2028년까지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의 보안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양자컴퓨터, 블록체인 보안 깨뜨린다"…비탈릭 부테린 경고

1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부테린은 "양자컴퓨터가 타원곡선 암호를 무력화할 것"이라며, 이는 현재 블록체인의 지갑, 서명, 거래 보안을 책임지는 수학적 기반이 붕괴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와 관련돼 있는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이 사용자 자산을 동결·재배치하며 커뮤니티 거버넌스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20일(현지시간)보도했다.

⦁ 트럼프의 월드 리버티, 사용자 월렛 동결 논란

WLFI는 플랫폼 보안 문제를 이유로 특정 계정 자산을 재할당하겠다고 발표했다. WLFI 측은 사전 피싱 공격으로 유출된 월렛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며, 플랫폼이나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객 신원 확인(KYC )인증을 완료하지 않은 사용자들 계정은 여전히 동결 상태로 남아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는 전했다.

미국에서 비트코인으로 연방 세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2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미 하원에서 워렌 데이비슨 공화당 의원이 '비트코인 포 아메리카 법안'을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 비트코인으로 세금 납부? 미국, IRS BTC 결제 허용 법안 발의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비트코인으로 납부한 세금은 국가 전략 비축고로 편입되며, 납세자에게는 자본이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대형 자산 운용사 블랙록이 델라웨어에서 스테이킹 이더리움 ETF를 등록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블랙록, 스테이킹 이더리움 ETF도 준비 중

기존 이더리움 ETF를 넘어 스테이킹을 포함한 새로운 상품도 준비하려는 행보다. 블랙록은 지난해 7월 출시한 이더리움 ETF(ETHA)를 통해 131억달러 규모 자금 유입을 기록했지만, 스테이킹 기능은 포함하지 않았다.

크라켄
크라켄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 서류를 비공개 제출하며 상장 절차를 본격화했다.

⦁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 IPO 시동…美 SEC에 비공개 서류 제출

1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크라켄의 상장 계획은 지난 2024년부터 암호화폐 업계에서 꾸준히 제기됐으나, 최근에서야 공식화됐다. 

IBM은 금융기관, 정부, 기업이 디지털 자산을 운영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IBM 디지털 에셋 헤이븐(IBM Digital Asset Haven)’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 IBM, 기업용 디지털 자산 운영 지원 플랫폼 공개

이 플랫폼은 디지털 자산 보관부터 거래, 결제까지 전 과정을 단일 솔루션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규제 준수를 지원하고 다양한 시스템과 통합도 가능하다.

블록체인닷컴이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새로운 본사를 오픈한다.

⦁ 블록체인닷컴, 미국 댈러스에 새 본사 오픈…공동 CEO 체제 전환

더블록 최근 보도에 따르면 블록체인닷컴은 레인 캐슬먼을 공동 최고경영자(CEO)로 임명해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Q-데이(Q-day)는 인류가 쌓아 올린 모든 암호체계를 무너뜨릴 만큼 강력한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는 날이다.  

⦁ 모든 암호 털리는 'Q-데이'…2052년→2034년 더 빨리 온다

그런데 최근 양자컴퓨팅이 예상보다 빠르게 발전하면서 Q-데이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기술 예측 사이트 메타큘러스(Metaculus)는 쇼어 알고리즘(Shor's algorithm)을 사용해 RSA 암호화 시스템의 핵심인 'RSA 숫자'를 해독할 수 있는 시점을 2052년에서 2034년으로 조정했다.

중국 비트코인 채굴장비 제조사 비트메인(Bitmain)이 미국 정부로부터 안보 관련해 조사를 받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 "美 정부, 중국 채굴 장비 업체 비트메인 조사 중...국가 안보 우려"

미국 국토안보부(DHS)가 ‘레드 선셋 작전(Operation Red Sunset)’이라는 이름으로 비트메인 장비에 대한 보안성과 원격 통제 가능성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들을 인용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암호화폐 투자신탁 시장에 본격 진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일본 6개 대형 자산 운용사, 암호화폐 투자 신탁 시장 진출 타진

20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미쓰비시UFJ자산운용(Mitsubishi UFJ Asset Management), 노무라자산운용(Nomura Asset Management), 다이와자산운용(Daiwa Asset Management), SBI글로벌자산운용, 아세마네원(Asemane One), 아모바자산운용(Amova Asset Management) 등 6개사가 암호화폐를 기초로 한 투자신탁 상품 출시를 타진 중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블록체인 기반 신규 서비스에 대한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를 의결하고 후속으로 블록 체인 응용서비스 분야 전반에 대한 사전 실태점검을 실시, 개인정보보호 관점에서 가이드를 제공키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 개인정보위, 블록체인 응용서비스 분야 사전 실태점검 추진

대상 분야는, 가상자산(코인) 발행·송금 서비스, 가상자산 거래소(코인-법정화폐·스테이블코인 간 교환 서비스), 분산신원인증(DID), 퍼블릭 블록체인 인프라를 포함한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1, 2위인 업비트와 빗썸 간 격차가 3분기 들어 급격히 좁혀졌다. 빗썸의 매출·영업이익 증가 속도가 가파르게 치고 올라오면서 양강 체제를 굳히는 흐름이다.

⦁ 가상자산 거래소 판도 흔들리나...업비트-빗썸 격차 축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올해 3분기 3859억원의 매출과 235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5%, 영업이익은 54% 늘어난 수치다. 빗썸은 같은 기간 매출 1960억원, 영업이익 701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 매출 689억원, 영업이익 80억원 대비 각각 184.4%, 771.1% 급증한 것이다.

19일 업비트 디콘2025에서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개회사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19일 업비트 디콘2025에서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개회사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대한민국의 다음 성장엔진은 디지털자산 에서 찾아야 한다"며 산업 구조 전환의 긴급성을 강조했다.

⦁ 오경석 두나무 대표 "K-디지털자산은 넥스트 대한민국 성장엔진"

⦁ "디지털자산은 통화주권·미래산업 핵심...크립토 갈라파고스 벗어나야"

오 대표는 19일 업비트 정책 콘퍼런스 '디콘(D-CON) 2025' 기조발언에서 "한국 산업 발전사는 성장엔진의 세대교체가 반복된 역사"라며 "디지털자산은 금융 시스템을 새롭게 정의하는 혁신이자, 이미 본격화된 미래 금융 패권 경쟁의 중심"이라고 말했다.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여야 정치권과 학계·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글로벌 패권 경쟁 속 한국 디지털자산 산업의 과제와 전략을 논의했다

바이낸스가 가상자산 기반 사이버범죄 대응에 기여한 공로로 '제18회 사이버치안대상'에서 경찰청장 감사장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 바이낸스, 사이버치안대상서 경찰청장 감사장 수여…가상자산 범죄 대응 공로

바이낸스는 경찰·검찰·국정원 등과 협력해 자산 추적·정보 공유·수사 기법 교육 등을 지원해 왔으며, 북한 해킹 사건 등 주요 범죄 대응에 참여했다. 

메타보라게임즈는 20일 네오스텔라게임즈와 HTML5(이하 H5) 기반 웹3 게임 공동 개발 및 글로벌 출시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메타보라게임즈]
메타보라게임즈는 20일 네오스텔라게임즈와 HTML5(이하 H5) 기반 웹3 게임 공동 개발 및 글로벌 출시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메타보라게임즈]

메타보라게임즈는 20일 네오스텔라게임즈와 HTML5(이하 H5) 기반 웹3 게임 공동 개발 및 글로벌 출시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메타보라게임즈, 네오스텔라게임즈와 웹3 게임 공동 개발 파트너십 체결

네오스텔라게임즈는 라인플레이, 디즈니 인터랙티브, 엔씨소프트 등 국내외 메이저 게임 기업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해 온 멤버들이 주축이 돼 설립된 모바일 게임 전문 스튜디오로, 다수의 상용 타이틀 제작 및 글로벌 라이브 서비스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빗썸이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4개 지점에서 진행한 ‘릴레이 팝업 부스’ 운영을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팝업은 8월 시흥점을 시작으로 파주·부산·여주까지 약 4개월 간 이어졌으며 총 2만3000여명이 참여했다.

⦁ 빗썸, 신세계 아울렛 ‘릴레이 팝업’ 마무리…4개월간 2.3만명 참여

현장에서는 가상자산 투자 방법, 계정 개설 절차, 거래 환경 등 기초 이용 정보를 안내해 초보 투자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