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보유자들에게 단순한 투자 이상의 법적·세무적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현실이 되고 있다. [사진: Reve AI]](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6771_562243_1932.png)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XRP 투자자들이 소송, 세금, 상속 등에서 불필요한 위험을 떠안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 크립토 베이직에 따르면, 제이크 클레이버((Jake Claver) 디지털어센션그룹 최고경영자(CEO)는 2014년 미국 국세청(IRS)이 암호화폐를 '재산'으로 분류한 이후 투자자들이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크게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XRP 보유자 상당수는 아직도 이러한 제도를 제대로 모른 채 개인 명의로만 자산을 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가 가장 우려한 부분은 소송 위험이다. 클레이버는 XRP를 개인 지갑에 보관할 경우 소송 발생 시 자산이 그대로 드러나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개인 명의의 자산이 법적 분쟁에 휘말릴 경우 동결·몰수 등 강제 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클레이버는 "교통사고나 사업 분쟁과 같은 일반적인 민사소송을 한 번 겪어도 판사가 개인 지갑 주소와 개인키 제출을 명령할 수 있으며, 이를 숨기려 하면 법정 모독이나 징역형 등 중대한 처벌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6자리 또는 7자리 규모 이상의 XRP 보유자들은 더욱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XRP 보유자가 상속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간과하기 쉬운 요소를 짚었다.
클레이버는 "매수 가격이 0.5달러였더라도 사망 시점에 100달러라면 상속인은 100달러를 새로운 취득가로 인정받아 양도차익이 사라진다"고 말했다. 또한 "여기에 1인당 최대 1360만달러까지 비과세 혜택을 활용할 수 있고, 자산을 '취소 가능한 리빙 트러스트(Revocable Living Trust)'에 예치하는 것도 상속 과정에서 공개 절차를 피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클레이버는 고액 자산가들의 방식처럼 XRP를 매도하지 않고 담보로 대출을 활용하는 전략도 소개했다. 그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테슬라 주식을 담보로 대출받아 400억달러 규모의 트위터 인수 자금을 조달한 사례를 언급하며, XRP 보유자 역시 이 같은 방식으로 상승 자산의 과세를 피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보험 가입이 가능한 기관 커스터디 계좌가 법적 안정성을 높여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특히 미국 와이오밍주의 유한책임회사(LLC) 구조가 강력한 법적 보호막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XRP 보유자들이 법률 전문가와 협력해 자산을 신탁(trust)이나 LLC에 이전할 것을 권장한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채권자가 LLC 자산을 직접 압류할 수 없고 배당금 분배를 기다리는 형태로만 제한되기 때문에 XRP가 강제 집행을 회피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더해 회의록, 이사회 결의안과 같은 적절한 문서가 갖춰지면 보호 장치는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클레이버는 "많은 투자자들은 여전히 XRP를 단기투자 자산으로 여기지만, 고액 자산가들은 부동산처럼 구조화, 보험, 법적 보호를 완비한 형태로 관리한다"며 "암호화폐가 재산으로 분류된 순간부터 세대 간 부를 축적하는 길이 열림에 따라 투자자들은 몇 년 후가 아닌 지금 당장 행동으로 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This is about to become very important for XRP holders to understand… https://t.co/lgBdnH6F9i
— Jake Claver, QFOP (@beyond_broke) November 20,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