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반도체 관세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진: Reve AI]
미국 정부가 반도체 관세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진: Reve AI]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반도체 관세를 곧 시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2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최근 며칠 동안 정부와 산업계 관계자들에게 이 같은 내용이 전달됐다. 한 소식통은 미국 정부가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피하기 위해 신중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도입을 서두르지 않고 있으며, 이는 중국과의 갈등을 방지하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두 명의 소식통은 밝혔다. 다만, 관세가 언제든 부과될 수 있으며 최종 결정은 행정부 승인 이후 확정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반도체 수입품에 약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미국 내 생산 기업이나 미국 내 생산 의사가 있는 기업에는 적용하지 않겠다고 조건을 달았다. 이 발표는 당시 반도체 제조사들 사이에 긴장을 불러일으켰다.

백악관과 상무부 관계자들은 최근 논란에 대해 관세 정책에 변화가 없다고 부인했다. 상무부 관계자는 "반도체 232 관세와 관련한 부서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시행 시점이나 추가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다.

분석가들은 행정부가 관세 도입을 연기하거나 제한할 경우, 연말 소비자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는 시점에서 민감한 결정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도체 관세 인상은 냉장고, 스마트폰 등 주요 소비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반도체 생산국인 중국과의 취약한 무역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난달 부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무역 문제를 잠정 보류하기로 합의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