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프롬프트 최적화는 단순한 입력 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창의성과 기술의 경계를 넓히는 과정이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6395_561904_1057.jpg)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오늘날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같은 인공지능(AI) 챗봇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프롬프트다. AI 챗봇에서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더 나은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19일(현지시간) IT매체 테크레이더는 AI 챗봇의 응답 품질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법 4가지를 소개했다.
첫째,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하라
키워드만 나열하는 대신, 배경, 등장 인물, 대상물, 스타일, 분위기까지 포함한 문장을 작성하면 AI 챗봇이 보다 정확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일관된 답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막', '밤', '동물' 같은 키워드보다 "번개가 치는 사막의 밤을 배경으로, 낙타가 피라미드를 바라보는 장면을 최대한 사진처럼 현실감 있게 묘사해 줘"와 같이 구체적으로 요청하면 AI는 보다 현실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인물 이미지 생성의 경우, 카메라 설정과 같은 실사용 조건을 추가하면 결과는 더욱 크게 향상된다. "클로즈업 초상화, 85mm 렌즈, 부드러운 황금 시간 조명"과 같이 카메라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인물이 보다 자연스럽게 연출된다.
둘째,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지정하라
AI 챗봇에는 무엇을 해야 할지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지 말아야 할 작업도 지정하는 것이 좋다. 가령, 최근까지 문제로 거론됐던 챗GPT의 '엠 대시(ㅡ)'는 간혹 어색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롬프트 끝에 "응답에 대시를 사용하지 마라" 등의 요청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셋째, 특정 역할을 부여하라
AI 챗봇이 응답을 제시할 때 중점을 둬야 할 부분을 지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다. 업무를 시작하기 전 내가 알아야 할 3가지 사항을 설명하라"고 입력하면 보다 깊이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만약 자신에게 영감이 되는 인물이 있다면 AI 챗봇에게 그 인물이 되어 대화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는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스티브 잡스다. 그에게서 영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제 왜 내가 아직 세상을 바꾸지 못했는지 물어봐라"고 말하면 매우 흥미로운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알아두면 유용한 프롬프트를 숙지하라
AI 챗봇에서 특히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프롬프트가 있다. 이는 "우리의 모든 대화 기록을 활용하라", "모든 메시지, 주제, 대화의 뉘앙스를 반영하라" 등의 문구를 프롬프트 시작 부분에 추가하면 챗봇은 사용자와의 이전 대화 맥락을 고려해 응답을 만든다.
또한 "일반적인 응답을 피하라"고 요청하는 것도 좋은 팁이다. 더 나아가 "상세하고 논리적이며 잘 정리된 응답을 제공하라"고 요청하면 더 긴 답변을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챗봇을 통해 고치기 어려운 습관을 고치고 싶다면 "내가 초기 제안에 거부감을 느끼거나 해당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려워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맞게 접근 방식을 조정하라"는 문구를 추가하면 도움이 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MS, AI 시대 맞아 경영 전략 전면 재검토…AI 경제학 고문 임명
- 챗GPT, 더 똑똑하게 쓰는 법…개인 맞춤 설정부터 프로젝트 관리까지
- '제미나이 3' 효과에 알파벳 주가 급등… 구글 AI 경쟁력 강화
- 퍼플렉시티, 쇼핑 검색 엔진 강화…페이팔과 협력
- AI 클라우드 람다, 15억달러 투자 유치...인프라 확장
- 코세라, 앤트로픽과 AI 교육 협력…클로드 활용법 강의 개설
-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AI, CEO 역할도 대체할 것"
- 세금 신고도 AI로…인튜이트, 챗GPT와 통합한다
- 구글 CEO, AI 버블 경고…"구글도 예외 아냐"
- 행사 준비 스트레스 줄인다… AI 기반 이벤트 기획 확산
- AI 퀴즈부터 맞춤형 DJ까지… 챗GPT로 즐기는 4가지 방법
- AI 챗봇, 친구인가 스파이인가? 개인정보 논란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