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업비트 디콘2025에서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개회사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19일 업비트 디콘2025에서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개회사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대한민국의 다음 성장엔진은 디지털자산 에서 찾아야 한다"며 산업 구조 전환의 긴급성을 강조했다.

오 대표는 19일 업비트 정책 콘퍼런스 '디콘(D-CON) 2025' 기조발언에서 "한국 산업 발전사는 성장엔진의 세대교체가 반복된 역사"라며 "디지털자산은 금융 시스템을 새롭게 정의하는 혁신이자, 이미 본격화된 미래 금융 패권 경쟁의 중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필요한 것은 규제의 연장이 아니라 산업 구조 전환이라는 한국식 성공 공식을 다시 적용하는 것"이라며 "디지털자산 산업을 국가 성장전략 안으로 편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여야 정치권과 학계·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글로벌 패권 경쟁 속 한국 디지털자산 산업의 과제와 전략을 논의했다. 행사는 ▲새로운 정치 세대, K-디지털자산의 길을 논하다 ▲K-신드롬, 디지털자산에도 일어나려면 ▲디지털자산이 바꾸는 글로벌 금융 생태계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19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베서더 서울에서 개최된 업비트 디콘 2025에서 발제 및 토론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19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베서더 서울에서 개최된 업비트 디콘 2025에서 발제 및 토론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첫번째 세션 '새로운 정치 세대, K-디지털자산의 길을 논하다'에서는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와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이 미국·EU 등 주요국 전략과 한국 제도화의 방향을 논의했다.

김 의원은 "각국이 디지털자산이 촉진하는 금융 혁신과 부가가치를 선점하기 위해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파생상품 제도화·기관투자자 참여 확대·이용자 보호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천 의원은 "디지털자산은 청년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산업 기반"이라며 "코인베이스 같은 글로벌 기업을 키울 수 있도록 규제 완화와 육성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했다.

황 의원은 "미국은 디지털자산 리더십을 공고히 하며 패권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한국도 부동산 중심 투자에서 신산업으로 자본을 이동시키는 정책 기조에 맞춰 디지털자산 정책을 더 과감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일 류혁선 카이스트 교수가 업비트 디콘2025에서 발제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19일 류혁선 카이스트 교수가 업비트 디콘2025에서 발제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두번째 세션에서는 류혁선 KAIST 교수가 'K-Crypto: 규제에서 전략으로, 한국 디지털자산의 새 길'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K-팝 성공의 핵심은 정부의 인프라·생태계 지원"이라며 "K-Crypto 신드롬을 위해서도 규제 프레임을 벗어나 인프라·국제 정합성 중심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박정호 명지대 교수가 디지털금융의 신성장동력 가능성을 짚으며 "저성장 국면에서 디지털 금융·디지털자산 산업은 국가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달러 중심 글로벌 경제에서 환율 방어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금융 육성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강조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