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사진: 셔터스톡]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유동성 제한을 완화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비트코인과 위험 자산의 반등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여전히 변수로 남아 있다.

18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연준이 자산운용 규모를 6조5000억달러 이하로 유지하지 않기로 하면서 유동성 완화 가능성이 커졌다. 환매조건부채권(Repo) 운영을 통해 금융시장에 현금을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는 비트코인과 같은 위험 자산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국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6년 저소득층을 위한 경기 부양책을 준비 중이며, 수입 관세를 점진적으로 낮춰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이 시행되면 재정적 압박이 가중될 전망이다.

비트코인 시장은 단기적으로 연준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에 의하면, 미국 노동시장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연준 내부에서도 금리 인하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금리 동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비트코인은 매크로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만큼, 향후 발표될 경제 지표와 연준 발언이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시장은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까지 유동성 기대와 정책 불확실성 사이에서 방향성을 탐색하는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