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코인360]
[자료: 코인360]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최근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은 일제히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비트코인은 하루 전 보다 약 2~3% 하락한 9만2315달러를 기록했으며, 간밤 한 때 9만1000달러대로 추락하기도 했다. 이더리움(ETH), BNB, 솔라나(SOL) 등 주요 알트코인도 동반 약세를 기록했다.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급락의 핵심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대규모 레버리지 포지션의 청산이다. 일부 보도에서는 지난 24시간 동안 수백만 달러 규모의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하방 압력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은 유동성이 얇아, 초기 매도세가 알고리즘 매매나 자동 손절을 촉발해 ‘도미노 현상’을 일으켰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둘째, 매크로 불확실성 증가다. 미·중 무역 협상 교착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에서 자금을 빼는 리스크 오프 흐름이 감지됐다. 동시에,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 관련 불확실성도 지속되면서 암호화폐가 안전자산으로서의 매력을 일부 잃는 모습이다.

셋째, ETF(상장지수펀드) 자금 유출이다. 일부 외신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ETF에서 수백만 달러가 빠져나가고 있다고 보도하고, 이는 기관 투자자의 신중한 태도를 반영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투자 심리 악화도 낙폭을 키운 또 다른 요인이다. 외신은 공포-탐욕 지수가 최근 급락하며 투자심리가 냉각되었고, 이는 추가 매도압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일부 분석가는 기술적 반등 구간에서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졌다고 보고 있다.

일부는 이 흐름이 단순한 조정으로 볼 여지도 있다는 평가도 내린다. 시장 전략가들 가운데는 “강세 흐름 속에서 일시적 청산과 자금 이탈이 겹친 정상 조정”이라는 진단을 내린 이들도 있다.  다만 이들은 향후 지정학적 리스크, 유동성 변화 등에 따라 추가 변동이 가능하다고 경고한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