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 시장에서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4346_560191_521.jpg)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AI 데이터센터가 확산하면서 IT인프라 판에서 큰 주목을 끌지 못했던 냉각 기술이 단숨에 격전지로 급부상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AI 칩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기존 공기식 냉각 기술 보다는 초기 비용이 비싸더라도 액체 냉각 기술을 데이터센터에 투입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특히 엔비디아 최신 GPU인 블랙웰 칩의 경우 액체 냉각 방식만 지원해 향후 AI 데이터센터에서 액체 냉각 기술은 더욱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외 가릴 것 없이 유력 IT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솔루션 제공 업체들이 최근 액체 냉각 기술을 전진배치하고 나선 배경이다.
KT클라우드는 최근 가산 AI 데이터센터’를 개소하면서 리퀴드 쿨링(Liquid Cooling, 액체 냉각)을 상용화한 사례라는 점을 강조했다. 네이버클라우드도 AI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 관련해 냉각 기술을 차별화 포인트 중 하나로 내걸었다. 회사 측에 따르면 각 세종’은 ‘각 춘천’ 운영으로 축적한 실데이터와 열환경 분석을 바탕으로 직접외기·간접외기·냉수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을 적용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액침냉각 컨테이너 인프라도 구축해 냉각 용액의 안정성, 에너지 효율, 운영 안정성 등을 검증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고전력·고밀도 환경에 대응하는 차세대 냉각 기술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수냉식 서버 냉각 관련 자체 특허도 출원 완료했다.
ㆍKT클라우드, 가산AI데이터센터 오픈...리퀴드 쿨링 상용화
ㆍ네이버클라우드 "AI 인프라 기술 기반으로 GPUaaS 고도화"
데이터센터 인프라 기업 슈퍼마이크로는 차세대 직접 수냉식(Direct Liquid Cooling, 이하 DLC) 솔루션 DLC-2을 발표했다.회사 측에 따르면 DLC-2 솔루션은 고온 냉각수 유입을 지원하고 와트당 AI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이로 인해 공냉식 냉각 솔루션 대비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를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케이투스(KAYTUS)는 AI 연산 수요와 에너지 효율화 요구에 대응하는 원스톱 ‘엔드투엔드(End-to-End) 액체 냉각 AI 데이터센터(AIDC) 솔루션’을 공개했다.
ㆍ슈퍼마이크로, 데이터센터 빌딩블록 레이스 가세...한국서 25% 점유율 목표
ㆍ케이투스, 한국 AI 데이터센터 겨냥 엔드투엔드 액체 냉각 솔루션’ 공개
AI로 인해 기업들이 냉각에 쏟아붓는 돈이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엔비디아의 고성능 랙 시스템 냉각 비용이 차세대 모델마다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엔비디아 GB300 NVL72에 적용되는 액체 냉각 하드웨어 비용은 약 4만9860달러로, 테슬라 모델Y와 맞먹는 수준이다.
ㆍ엔비디아 GPU 냉각 비용 폭등…차세대 시스템 더 비싸진다
AI를 직접 개발하거나 활용하려는 국내외 테크 기업들 행보는 이번 주에도 계속됐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4346_560170_5448.jpg)
오픈AI가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오픈AI는 개인 건강 비서나 건강 데이터 플랫폼 개발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 협력 관계를 재조정한 이후 자체 AI 개발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슈퍼인텔리전스 개발을 목표로 한 MAI 슈퍼인텔리전스 팀도 신설했다.
ㆍ오픈AI, 개인 건강 앱 개발 검토
ㆍ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와 관계 조정 후 독자 AI 개발 속도 낸다
더존비즈온은 서울시 인공지능(AI) 행정 혁신 사업에 참여해 내부망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플랫폼 ‘ONE AI 프라이빗 에디션(PE: Private Edition)’을 공급한다. 원더스랩은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기반 마케팅 특화 AI 에이전트 개발을 본격화한다. 올인원 AI 비즈니스 메신저 ‘채널톡’을 운영 중인 채널코퍼레이션은 자율 업무 수행 능력이 강화된 상담 AI 에이전트 ‘알프v2’를 선보였다.
ㆍ더존비즈온, 서울시에 ‘ONE AI PE’ 공급… 공공 AI 에이전트 지원
ㆍ원더스랩, AI 검색엔진 최적화(GEO) 기반 마케팅 AI 에이전트 개발한다
ㆍ채널코퍼레이션, 상담 AI 에이전트 ‘알프v2’ 출시
AI 기반 창작 테크 기업 '데이븐 AI(DAVEN AI)'는 한국 시장에 공식 진출한다. 데이븐 AI는 독자 기술인 AI 시너지 엔진 기반으로 글쓰기, 이미지 생성, 음악 작곡 등 각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들을 자동으로 조합해, 마치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각 AI 장점을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ㆍAI 기반 창작 테크 기업 데이븐 AI, 한국 진출...크리에이터 겨냥
AI 코딩 플랫폼 러버블은 출시 1년 만에 800만 사용자 돌파를 앞두고 있다. 7월 230만명에서 급성장한 수치다. 생성형 AI 프레젠테이션 툴 ‘감마’는 21억달러 기업가치로 6800만달러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음성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리턴제로는 시리즈 C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리턴제로는 확보한 자금을 AI 음성 기술 고도화와 핵심 인재 확보, 서비스 확장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등에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ㆍAI 코딩 플랫폼 러버블, 출시 1년 만에 800만 사용자 눈앞
ㆍ생성형 AI 프레젠테이션 툴 ‘감마’, 6800만달러 투자 유치...21억달러 가치
ㆍ리턴제로, 50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AI 보이스 에이전트로 글로벌 공략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문샷AI(Moonshot AI)가 개발한 추론형 모델 키미 K2(Kimi K2)가 오픈AI GPT-5를 넘어서는 성능을 기록해 눈길을 끈다. 메타의 얀 르쿤 AI 최고 과학자가 메타를 떠나 자신의 스타트업을 설립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ㆍ中 문샷의 AI모델 키미 K2, GPT 뛰어 넘어…AI 패권 도전장
ㆍ메타 최고 AI 과학자 얀 르쿤, 독립 선언…스타트업 설립한다
보안 기업 사이버아크는 AI에이전트를 겨냥한 아이덴티티 보안 제품 시큐어 AI 에이전트 솔루션(CyberArk Secure AI Agents Solution)을 출시했다.
ㆍ사이버아크, AI 에이전트 겨냥 아이덴티티 보안 솔루션 출시
위키피디아재단은 블로그를 통해 AI 개발자들에게 콘텐츠를 책임감 있게 활용할 것을 요구하며, 유료 API 플랫폼인 위키미디어 엔터프라이즈를 통한 접근을 권장하고 나섰다.
ㆍ위키피디아, AI 기업들에 유료 API 사용 촉구…스크래핑 중단 요구
거대언어모델(LLM) 시장에서 대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오픈AI와 앤트로픽이 점점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오픈AI가 과감하고 대담한 투자를 통한 확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앤트로픽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오픈AI 대비 상대적으로 내실을 기하는 모습이다.
ㆍ[테크인사이드] 투자 스타일부터 타깃 고객까지...오픈AI-앤트로픽 '다른 행보'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빅테크 기업들의 행보는 점점 대담해지고 있다. 대담해지는 만큼 그에 따른 리스크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는 모양새다. 예전만 해도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구축에 자체 보유한 현금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부채를 조달하는 형태로 전환하고 있다.
ㆍ부채로 자금 조달 확산...AI 데이터센터 '대담한 레이스' 괜찮을까
구글 연구원들이 최근 AI 기반 악성코드를 사용하는 해킹 사례를 확인했다. 악의적인 해커들이 공격 역량 강화를 위해 생성형AI를 실전에 투입하는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여서 주목된다.
ㆍAI 기반 악성코드 본격 등장...공격자가 프롬프트도 활용 가능
AI 확산 속에 데이팅 앱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AI 매치메이커를 전면에 내건 스타트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고 힌지(Hinge), 틴더(Tinder), 범블(Bumble), 그라인더(Grindr) 같은 기존 데이팅 앱들도 AI 활용에 속도를 내고 있다.
ㆍ기로에 선 데이팅 앱...AI로 분위기 반전 가능할까?
사람 개입 없이 특정 작업을 자동화하는 AI 에이전트를 놓고 아직은 시기 상조라는 의견이 적지 않지만 매출 측면에서 나름 인상적인 성적표를 보여주는 곳들이 나오고 있다. 코딩 AI 스타트업들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AI 기반 고객 서비스를 주특기로 하는 AI 에이전트 기업들도 눈에 띈다.
ㆍ코딩 이은 AI 에이전트 킬러앱은?....스타트업들 '고객 지원' 매출 탄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