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3610_559606_3118.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의 가스비가 0.067 Gwei까지 하락하며, 네트워크 활성도와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10월 시장 폭락 이후 이더리움 레이어1 블록체인에서 가스비는 하락세를 이어가며 0.5 Gwei 수준을 유지했고, 현재는 0.067 Gwei로 떨어졌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왑을 실행하는 비용은 평균 0.11달러, NFT 판매 수수료는 0.19달러, 다른 블록체인으로의 자산 이동은 0.04달러, 온체인 차입 비용은 0.09달러 수준에 불과하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거래 수수료는 10월10일 시장 충격 당시 15.9 Gwei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일부 알트코인 가치가 단 24시간 만에 90% 이상 하락한 급락 사태가 발생한 날이었다. 그러나 10월 12일 이후 수수료는 다시 0.5 Gwei 수준으로 떨어졌고, 이후 10월과 11월 전반에 걸쳐 1 Gwei 이하를 유지했다.
투자자와 트레이더는 낮은 수수료를 활용해 베이스 레이어에서 온체인 거래를 확대할 여지를 얻었지만, 분석가와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는 과도하게 낮은 수수료가 이더리움 생태계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21년 상승장에서는 네트워크 혼잡 시 거래 수수료가 150달러에 달했으며, 2024년 3월 도입된 덴쿤(Dencun) 업그레이드 이후 레이어‑2 확장 네트워크의 수수료가 크게 낮아졌지만, 이로 인해 이더리움의 수익이 99% 감소했다.
비트코인(BTC)과 달리 이더리움은 레이어‑2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확장 전략을 채택하고 있어, 동시에 이더리움 자체의 수입을 레이어‑2 네트워크가 흡수하면서 내부 경쟁을 심화시켰다는 분석도 있다. 낮은 수수료와 수익 감소는 사용자가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떠나는 신호일 수도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솔라나 재단 임원 "집 팔고 XRP 사라" 도발 발언…투자자 반응은?
- 부자아빠 저자 "2026년 비트코인 25만달러, 금 2만7000달러 간다"
- 이더리움 매도 압박 완화…가격 회복은 아직 난관
- 이더리움, 3900달러 회복 가능성 낮아…시장 신뢰 흔들
- 창펑 자오, 49만달러 상당 무단 전송 밈코인 소각…"코인 보내지 마"
- 바이낸스서 폭발적 거래량…이더리움, 변동성 확대 신호
- 이더리움, 초당 2만4000건 거래 신기록…ETH 소각도 급증
- 11월 알트코인 시즌 개막 신호탄 3가지…기술·심리적 변화 감지
- 이더리움, 3000달러대 저점 형성…고래들 다시 움직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