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빈 CPX가 탑재된 베라 루빈 NVL144 CPX [사진: 엔비디아]
루빈 CPX가 탑재된 베라 루빈 NVL144 CPX [사진: 엔비디아]

■ 엔비디아 GPU 냉각 비용 폭등…차세대 시스템 더 비싸진다

엔비디아의 고성능 랙 시스템 냉각 비용이 차세대 모델마다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엔비디아 GB300 NVL72에 적용되는 액체 냉각 하드웨어 비용은 약 4만9860달러로, 테슬라 모델Y와 맞먹는 수준이다.

또한, 차세대 베라 루빈 NVL144 구성의 냉각 시스템 비용은 5만571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17% 증가할 전망이다. 이 플랫폼은 최대 1800W의 열 설계 전력(TDP)을 가진 루빈 GPU와 차세대 NVSwitch 6.0을 활용한다.

냉각 비용은 개별 컴퓨트 트레이에 연관되며, 트레이당 냉각 요구량이 늘어남에 따라 고용량 콜드 플레이트가 필요해진다. 컴퓨트 트레이당 비용은 18% 상승해 약 2660달러가 되고, 베라 루빈 NVL144 시스템은 18개의 트레이를 사용하므로 전체 연산 측 냉각 비용은 약 4만7880달러로 추산된다.

고용량 냉각 플레이트 가격은 400달러까지 상승할 전망이며, 반면 스위치 트레이 냉각 비용은 트레이당 870달러로 감소해 총 7830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연산 트레이의 비용 증가가 더 크기 때문에 전체 냉각 비용은 여전히 상승 추세다.

■ XRP 633배 상승 가능성…6가지 근거로 본 미래 전망

시장 분석가 엑스파이낸스불(XFinanceBull)이 XRP가 633배 상승할 가능성을 6가지 이유와 함께 제시했다. 

XRP는 2014년 이후 비트코인(BTC)을 3배 이상 초과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7월 XRP에 500달러를 투자했다면 현재 가치가 31만6167달러로 증가했지만, 같은 금액을 비트코인에 투자했을 경우 9만3508달러에 그쳤다. 관련해 그는 XRP가 다시 한번 비트코인을 능가할 수 있는 이유 6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XRP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7개 기업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신청을 완료했으며, 승인 여부는 11월 13일부터 20일 사이에 결정될 예정이다. 

이어 리플은 최근 20억달러 규모의 인수합병을 단행하며 시장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12억5000만달러에 히든로드를 인수하고, 10억달러에 GTreasury를 확보했다. 또한 리플은 미국 내 은행 라이선스를 추진 중이며, 이는 제도권 금융 진입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기업들이 XRP를 재무 자산으로 채택하는 움직임이 확산 중이다. 트라이던트 디지털, 웨버스 인터내셔널, 비보파워, 웰지스틱스 등 여러 기업이 XRP를 보유하거나 도입할 계획을 발표했다. 

■ 트럼프, 2000달러 관세 배당 발표…암호화폐 시장 미칠 영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로 벌어들이는 수입을 통해 미국 국민 1인당 최소 2000달러(약 291만6000원)의 배당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경제·암호화폐 시장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 소셜을 통해 "관세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바보"라며 "고소득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미국인이 2000달러 배당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 대법원은 관세 정책의 합법성을 두고 심리 중이며, 예측 시장에서는 대법원의 승인 가능성이 23%에 불과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투자자와 시장 분석가들은 이번 발표를 암호화폐·기타 자산 가격을 끌어올리는 경제 부양책으로 환영했지만, 장기적인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감소라는 부정적 효과도 경고했다. 코베이시 레터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지급된 경기 부양금 전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약 85%의 미국 성인이 2000달러 지급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법정화폐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경고가 나온다.

■ 전기 이륜차도 中 대세…니우, 첨단 콘셉트 전기 스쿠터 선봬

중국 전기 스쿠터 회사 니우(NIU)가 국제 모터사이클 박람회 'EICMA 2025'에서 전기 스쿠터와 모터사이클 라인업을 공개하며, 가장 주목받는 모델인 '콘셉트 06'을 선보였다. 이 모델은 단순한 쇼케이스를 넘어 실제 생산 가능성을 염두에 둔 혁신적 전기 맥시 스쿠터다.

니우 '콘셉트 06'은 20kW 측면 장착 모터가 탑재돼 최고 속도 155km/h(96mph)를 기록하며, 기존 스쿠터를 넘어 모터사이클 수준의 성능을 제공한다. TKX.LAB 서스펜션 시스템은 공격적인 주행을 지원하면서도 포트홀과 코너링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듀얼 디스크 브레이크가 강력한 제동력을 보장한다.

기술적 완성도도 주목할 만하다. 후방 레이더가 주변 차량을 감지하고 지상 경고를 투사하며, 스마트 적응형 헤드라이트가 환경에 맞춰 조도를 조절한다. 또한, 핸들바와 윈드스크린은 전자식으로 조정 가능하며, 무선 충전과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경사로 보조 기능 등 첨단 사양이 적용됐다. 

이외에도 전방, 후방, 라이더를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 시스템과 차량 조작 시 경고를 보내는 센트리 모드도 탑재됐다. 실시간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회생제동 시스템, 자동 개폐식 안장까지 더해져 라이더 중심의 업그레이드를 완성했다.

 

애플 아이폰17 프로 [사진: 애플]
애플 아이폰17 프로 [사진: 애플]

■ 애플 아이폰18 프로, 혁신적 변신 예고…투명 디자인·스틸 배터리 탑재

아이폰18 프로가 전례 없는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아이폰18 프로는 투명 후면, 스틸 배터리, 가변 조리개 등 새로운 기능을 대거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기존 아이폰 시리즈에서 볼 수 없었던 대대적인 변화다.

유명 IT 소식통 디지털챗스테이션(Digital Chat Station)에 따르면, 아이폰18 프로는 전면 홀 펀치 카메라를 적용해 화면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4800만 화소 메인 카메라에는 가변 조리개가 탑재돼 조리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카메라에서는 처음 적용되는 기술로, DSLR 수준의 심도 조절까지 가능할 전망이다.

아이폰18 프로 맥스 모델에는 스틸 배터리가 탑재돼 내구성과 발열 관리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투명 후면 디자인이 적용돼 일부 내부 구조가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이는 기존 아이폰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아마존, 저가 쇼핑앱 '아마존 바자르' 출시… 틱톡·쉬인에 맞불

아마존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를 대상으로 저가 쇼핑앱 '아마존 바자르'(Amazon Bazaar)를 출시했다.

바자르는 기존 아마존 앱과 별도로 운영되며, 대부분의 상품이 10달러(약 1만4600원) 이하, 일부는 2달러(약 2900원) 수준으로 제공된다.

아마존은 지난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쉬인, 테무와 경쟁하기 위해 '아마존 홀'(Amazon Haul)을 출시한 바 있으며, 이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에서 기존 아마존 앱 내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출시로 홀은 계속 유지되지만, 일부 시장에서는 바자르로 브랜드가 변경됐다.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에서는 이미 홀이 바자르로 대체된 상태다.

■ 테슬라 세미, 사이버 트럭 스타일로 변신…달라진 디자인·성능 공개

테슬라가 세미(Semi) 트럭의 디자인을 전면 개편하며, 모델Y·사이버트럭·사이버캡과 통일된 외관을 적용했다.

테슬라는 세미가 이번 개편으로 효율성이 향상되고, 견인 능력이 개선됐으며 자율주행용으로 설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미는 2017년 처음 공개됐으며, 2019년 양산 계획이 발표됐지만, 테슬라는 생산 시작을 지속적으로 연기해 왔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어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부터 세미 대량 생산을 시작할 계획임을 재확인하며, 느린 롤아웃을 종식시키겠다고 밝혔다.

전면 디자인에서는 오래된 헤드라이트를 없애고 전폭 라이트 바를 적용해 미래지향적 영화 소품 같은 외관을 구현했다. 범퍼에는 공기역학 채널이 추가돼 브레이크 냉각 기능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으며, 앞바퀴 뒤쪽에는 새롭게 배치된 카메라 포드가 눈에 띈다. 차량 하부는 가려져 있어 추가 디자인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측면 플라스틱 클래딩이 기존 모델보다 높아지고 문손잡이와 블랙 패널 사이 공간이 좁아진 모습도 관찰된다.

디지털 경제 미디어 디지털투데이가 매일 아침, 주요 뉴스를 AI가 읽어주는 오디오 뉴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네이버 오디오클립 데일리픽 채널에서 만나보세요. (평일 ~0600시 업로드)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