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FSD를 통해 운전 중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3091_559181_2559.jpg)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완전자율주행(FSD) 기능을 갖춘 전기차 소유자들이 한 두달 안에 운전 중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운전 중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을 어떻게 우회할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아 의문이 나오고 있다.
6일(현지시간) 전기차 매체 일렉트릭에 따르면, 몇 달 전만 해도 머스크는 테슬라가 오랫동안 약속했던 비감독 FSD를 연말까지 소비자 차량에 선보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6년 동안 매년 이러한 주장을 펼쳤으나, 여전히 실현하지 못했다.
그런데 최근 머스크는 테슬라 주주총회에서 "비감독 FSD까지 몇 달 남았다"며 2026년까지 이를 앞당길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테슬라 FSD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운전할 수 있도록 거의 준비가 됐다"며 "한두달 안에 이를 실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머스크는 이를 어떻게 실현할 계획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현재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운전 중 문자 입력은 불법으로, 적발 시 상당한 벌금과 법적 처벌이 부과된다.
이를 허용하려면 테슬라는 FSD 실행 시 소비자 차량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이는 이전에 약속했던 '비감독 자율주행' 또는 SAE 레벨 3~5 수준의 자율주행이 되어야 가능하다. 또한 테슬라가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법적 및 규제적 조치를 취해야 하나, 현재까지 테슬라가 관련 규제 승인을 받았다는 증거는 없다.
지금까지 테슬라는 규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차량 내 감독자가 있는 승차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 차량을 활용한 시범 프로젝트에만 국한해 왔다. 현재 SAE 레벨 3 자율주행에 대해 조건부로 미국에 도입한 자동차 제조사는 메르세데스-벤츠가 유일하다.
![테슬라가 진정한 FSD를 실현할 수 있을지, 과장된 약속으로 끝날지 주목된다. [사진: Reve AI]](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3091_559179_2450.png)
한편, 일렉트릭에 따르면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능의 안전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개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악명높다.
테슬라는 분기별 '오토파일럿 안전 보고서'를 발표하는데 여기에는 오토파일럿 기능이 켜진 테슬라 차량의 충돌 간 주행 거리를 공개하고, 이를 오토파일럿 기능이 켜지지 않은 차량의 주행 거리와 미국 내 충돌 간 평균 주행 거리를 비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해당 보고서는 에어백이 작동한 사고만 포함하며, 오토파일럿이 사고 확률이 비교적 낮은 고속도로에서만 사용되는 점 등이 주요 문제로 부각된다. 또한 테슬라 운전자는 주로 기술 애호가 및 고소득층으로, 이들 자체가 사고율이 낮은 집단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최근 공개된 로보택시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르면, 테슬라의 자율주행 차량은 6만2500마일 당 한 번꼴로 충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차량을 언제든지 멈출 준비가 된 안전 모니터가 탑재된 상태에서도 발생한 수치로, 경쟁사인 웨이모 로보택시의 안전성과 비교되기도 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테슬라, 일론 머스크 1조달러 보상안 승인…75% 찬성
- 일론 머스크, 테슬라 8세대 AI 칩 강조…FSD는 여전히 미완
- 눈 감고 운전하는 시대…운전자-차량 간 책임 공방 불가피
- 스텔란티스 전 CEO "테슬라, 10년 뒤 사라질 것" 충격 예언
- 테슬라, 사이버트럭 6200대 리콜…안전 문제 계속
- 테슬라 FSD v14 성능 '기대 이하'…환각·급브레이크·과속 문제 여전
- 테슬라, AI 칩 확보 위해 '초대형 반도체 공장' 건설한다
- 미쓰비시 전기 SUV '뉴 이클립스 크로스' 유럽 출격…600km 주행
- 웨이모, 구글 출신 스티브 필러 CFO 영입…자율주행 사업 강화
- 테슬라, 전기차 렌트 서비스 도입…슈퍼차저·FSD까지 포함
- 테슬라 핵심 인력 이탈…사이버트럭·모델Y 책임자 동시 사임
- [모빌리티핫이슈] 中 샤오펑, 휴머노이드 로봇 선두 넘본다…테슬라 FSD '레벨3' 도약
- 일론 머스크 vs 샘 알트먼, 다시 불붙은 오픈AI 갈등…"3800만달러+車까지 줬다"
- 테슬라 자율주행 시대, 한국 상륙 눈앞…국내 도로 달린다
- 테슬라 로보택시, 3건 추가 충돌…안전성 논란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