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온라인쇼핑협회 로고. [사진: 한국온라인쇼핑협회]
한국온라인쇼핑협회 로고. [사진: 한국온라인쇼핑협회]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한국온라인쇼핑협회(온쇼협)가 최근 일부에서 제기된 '새벽배송 금지' 논의에 공식 반대 입장을 냈다. 협회는 새벽배송 전면 제한이 소비자 불편, 농어업인·소상공인 피해, 일자리 감소 등 사회·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5일 온쇼협은 성명서를 통해 "새벽배송은 맞벌이 부부, 1인 가구, 영유아 부모 등 다양한 계층의 생활 속에 자리잡은 필수 서비스"라며 "2024년 한국소비자원 조사에서 국민 생활편익 기여도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비스 제한 시 '야간 주문-아침 수령'이라는 핵심 효용이 사라져 국민 후생이 급격히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새벽배송은 농어업인과 중소상공인의 주요 판로 역할을 해왔다는 점도 강조했다. 협회는 "서비스 중단 시 신선식품 판매 기회 상실, 물류비 증가, 판매처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단순 물류 문제가 아니라 지역경제 위축으로 번질 수 있는 구조적 위험"이라고 설명했다.

근로자 측면에서도 일자리 축소 우려가 제기됐다. 협회는 "새벽배송 기사 다수는 교통 혼잡이 적고 수입이 높다는 이유로 야간근무를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있다"며 "일괄적 금지는 직업선택의 자유 침해이자 소득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또 새벽배송이 AI 수요예측과 콜드체인 기술 등 '라스트마일 물류혁신'의 상징적 모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협회는 "야간배송이 멈추면 물류센터와 간선운송, 거점이동이 연쇄 지연돼 산업 전반의 효율이 떨어질 것"이라며 "국가경제의 동맥을 흔드는 조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