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 CI [사진: 크래프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2230_558477_516.jpg)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크래프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34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고 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8706억원으로 21%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3694억원으로 204.4% 증가했다.
이로써 올해 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액 2조4069억원, 영업이익 1조519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3분기 만에 누적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어선 건 창사 이래 최초다.
사업 부문별로는 ▲PC 3539억원 ▲모바일 4885억원 ▲콘솔 102억원 ▲기타 180억원이다. 우선 PC 플랫폼은 'PUBG: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 지적재산권(IP)을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하며 분기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다.
'에스파'와 '지드래곤', 프랑스 자동차 브랜드 '부가티' 등 컬래버레이션 콘텐츠를 연이어 선보이며, 화제성과 트래픽 상승세의 선순환을 이끈 것이 주효했다. 이어서 모바일 부문에서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트랜스포머' 테마 모드, 성장형 스킨 X-Suit 등 콘텐츠 다각화와 강력한 라이브 서비스로 글로벌 이용자의 큰 호응을 이끌며 성장을 견인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이하 BGMI)' 역시 분기 매출 최대치를 새로 썼다. 인도 한정 스킨을 비롯해 다양한 재미 요소를 선보이고, 서버 확장을 통해 이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등 현지화 전략으로 이룬 성과다. 기타 매출은 넵튠의 애드테크 부문 광고 실적이 반영되며 지난해 3분기 대비 131% 상승했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의 견조한 트래픽을 기반으로 PUBG IP 프랜차이즈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PC·콘솔에서는 지속적인 IP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게임 이상의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IP 프랜차이즈 내 콘텐츠를 공유해 타이틀 간의 시너지 창출을 모색한다. 배틀그라운드를 'PUBG 2.0' 게임플레이 플랫폼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된다. 언리얼 엔진 5 업그레이드, 게임플레이 모드 확대, UGC 확장이 골자다. 모바일 또한 콘텐츠 다양화와 안정적인 라이브 서비스 운영을 통해 성장을 이어간다.
이와 함께 크래프톤은 '빅 프랜차이즈 IP' 확보를 통한 5개년 중장기 계획에 따라 신규 프랜차이즈 IP 발굴을 지속하고 공격적인 투자를 펼치고 있다. 이에 맞춰 우수한 제작 리더십과 개발팀을 영입하고, 신규 프로젝트 총 11개를 가동 중이다. 앞으로도 크래프톤은 특화 제작 역량을 강화하며,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도전을 통해 IP 라인업을 넓혀간다. 오픈 월드 생존 제작 장르의 신작 '팰월드 모바일'은 오는 13일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에서 최초 공개되며 이용자 시연 기회도 마련된다.
이날 발표에서 크래프톤은 중장기 성장을 위한 구상도 함께 밝혔다. 우선 BGMI가 인도 국민 게임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 가운데 현지화 전략과 신작 발굴로 인도 시장 내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성장을 가속화한다. 구체적으로 인도 현지 브랜드와의 협업, 지역 맞춤형 콘텐츠, 네트워크 환경 최적화, UGC 모드 업데이트 등을 통해 이용자 저변을 확대하며 e스포츠 대회를 활용한 팬덤 구축을 지속해 나간다. 크래프톤은 '인도와 함께하는 성장'을 목표로 누적 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며 게임 및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분야 신규 IP 발굴에도 주력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인도의 대표 모바일 크리켓 게임 리얼 크리켓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는 노틸러스 모바일의 경영권을 확보한 바 있다. 향후 크래프톤은 리얼 크리켓 24를 직접 퍼블리싱하고 스포츠 라이선스 획득을 추진하는 등 성장 기반을 공고히 다진다.
이와 함께 'AI 퍼스트' 기업으로의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크래프톤은 AI 역량을 고도화해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고, 차별화된 이용자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혁신에 나서고 있다. 약 1000억원 규모의 GPU 클러스터를 구축해 창의적 실험과 도전을 촉진할 환경을 조성하고, 조직 구조와 업무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할 계획이다.
또한 크래프톤은 SK텔레콤 컨소시엄을 통해 5000억 파라미터 규모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대규모 학습부터 서비스 내재화까지 아우르는 AI 자체 개발 및 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CPC(Co-Playable Character) 고도화와 함께 게임 AI 기술 리더십 강화를 도모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CPC 'PUBG 앨라이'를 배틀그라운드 아케이드 모드에서 처음 선보일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게임업계 '강달러'의 두 얼굴…해외 매출 많을수록 웃는다
- 크래프톤, 최고안전책임자에 박재철 본부장 영입
-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첫 시연…지스타서 테마파크형 부스 선봬
- 크래프톤, 포르쉐와 손잡았다…'배틀그라운드' 컬래버레이션 진행
- 렐루게임즈, 신작 '미메시스' 얼리 액세스 출시
- '아이온2'·'팰월드 모바일' 등 신작 총집결...지스타 2025 달군다
- 현대그린푸드, 5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 크래프톤, 3분기 누적 영업익 첫 1조 돌파...'AI 퍼스트' 전환 본격화
- 크래프톤, '딩컴' 닌텐도 스위치 버전 글로벌 출시
- 게임업계 3N2K, 3분기 실적 희비…신작·IP 전략 차 뚜렷
- 넵튠, '불꽃야구' 제작사 스튜디오 C1에 채팅 솔루션 '클랫'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