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경찰기구인 유로폴이 디지털 자산 이용 범죄에 대해 경고했다 [사진: 셔터스톡]
유럽연합(EU) 경찰기구인 유로폴이 디지털 자산 이용 범죄에 대해 경고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유럽연합(EU) 경찰기구 유로폴이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범죄가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부르카르트 뮐 유로폴 유럽 금융경제범죄센터(EFECC) 국장은 최근 글로벌 금융·암호화폐 자산 회의에서 "디지털 자산 악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수사하는 데 막대한 부담이 따른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의 발전과 이를 악용한 범죄 수법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발표한 2025년 암호화폐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동안 불법 암호화폐 주소로 약 409억달러가 유입됐다. 이는 금융 범죄의 일부에 불과하며, 마약 밀매 등 전통적인 범죄에서 암호화폐가 결제 수단으로 사용된 사례는 제외된 수치다.

유로폴은 올해 라트비아 사이버 범죄 조직을 적발해 33만달러 이상의 자금을 디지털 자산으로 세탁한 사례를 밝혀냈으며, 2300만달러를 세탁한 하왈라 은행 네트워크와 5400만달러를 가로챈 암호화폐 투자 사기 조직도 적발했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디지털 자산 보유자를 신체적으로 위협해 암호화폐나 개인 키를 강탈하는 이른바 '렌치 공격'이 10건 이상 발생해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국제 공조 부족과 수사 표준화 미비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디애나 파투르트 블록 인텔리전스 전문가 협회(BIPA) 프로젝트 매니저는 "다양한 블록체인 분석 기업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놓고 있으며, 지갑 추적 방법론이나 훈련 체계도 표준화되지 않아 국제 공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블록체인 정보 훈련이 민간 솔루션에 의존하면서 특정 상업적 방법론에 편향되는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자산은 혁신적 기술이지만, 그만큼 범죄 악용 가능성도 높다. 국제 공조와 기술 표준화가 시급해 보인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