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채 에코프로 상임고문이 3일 개최된 ‘국제 배터리 엑스포2025 포항’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 에코프로]
이동채 에코프로 상임고문이 3일 개최된 ‘국제 배터리 엑스포2025 포항’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 에코프로]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에코프로가 국제배터리엑스포2025에서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과 글로벌 생산거점을 공개했다. 에코프로는 포항 포스텍 체육관에서 열리는 '국제배터리엑스포2025 포항'에 참가했다고 3일 밝혔다. 회사는 기술존, 친환경존, 지역상생존, 글로벌존 등 4개 존으로 구성된 부스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경북에서 최초로 열리는 이차전지 전시·박람회다.

기술존에서는 하이니켈 양극재와 미드니켈 양극재, LFP 양극재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전고체배터리용 고체전해질 기술과 소디움배터리 양극재, 실리콘 음극재 기술도 함께 전시했다. 미드니켈 양극재와 LFP 양극재는 중저가 시장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친환경존에서는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리튬, 전구체, 양극재, 재활용으로 이어지는 생산 방식이다. 에코프로가 최초로 구현했으며 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에 활용된다.

지역상생존에서는 포항 기반 투자와 고용 현황을 전시했다. 에코프로는 2017년부터 포항영일만산단에 약 3조원 이상을 투자했다. 전체 임직원 3600여명 중 90% 이상을 지역에서 채용했다.

글로벌존에서는 5개 도시 생산거점을 소개했다. 오창, 포항,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헝가리 데브레첸, 캐나다 베캉쿠아에 거점을 두고 있다. 연말 준공 예정인 헝가리 데브레첸 공장은 국내 양극재 기업 최초의 유럽 생산기지다. 에코프로는 헝가리 공장을 전략 거점으로 유럽을 넘어 글로벌 시장 전체를 공략할 방침이다.

인도네시아 프로젝트의 경우 2단계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1단계로 IMIP에서 니켈 제련소 4곳에 약 7000억원을 투자해 완료했다. 2단계는 IGIP에서 PT Vale Indonesia 등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추진한다. 1기는 제련소 지분투자, 2기는 원료 제련부터 양극재, 배터리 셀 생산까지 통합 산업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주는 "이번 행사는 포항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배터리 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생각한다"며 "에코프로는 포항의 대표 기업으로서 지속 가능한 혁신과 지역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에코프로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