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이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1/601656_558057_372.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AI 챗봇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문화예술 전문 매체 옵저버가 전했다.
오픈AI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챗GPT 주간 이용자 8억명 중 약 0.07%가 정신병적 증상이나 조증 등 정신적 위기 징후를 보였다. 비율은 낮지만 수십만 명에 해당하는 규모다.
또 0.15%(약 120만명)는 자살 충동을 표현했으며, 비슷한 수의 이용자가 챗봇과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AI가 심리 상담 접근성을 높일 수 있지만, 인간 전문가의 윤리적·치료적 책임은 결여돼 있다고 지적한다. 제프리 디첼 뉴욕 정신과 의사는 "AI의 반응이 망상이나 편집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오픈AI는 최신 모델 GPT-5를 통해 위기 대응 기능을 강화하고, 장시간 이용 시 휴식을 권유하는 기능과 위기 핫라인 안내를 추가했다. 앤트로픽은 해로운 대화를 자동 종료하는 기능을 도입했으며, 캐릭터.AI는 미성년자 대상 대화를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메타는 성적 역할극 생성 방지를 강화했다.
한편, 미 상원은 지난 10월 28일 미성년자의 감정 시뮬레이션형 챗봇 사용을 금지하는 가드(GUARD) 법안을 발의하며, AI 기업의 연령 검증과 책임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美 AI 챗봇 규제법안 발의…애플 변화 불가피
- AI 챗봇, 인간보다 50% 더 아첨한다…새 연구 결과
- MS AI 책임자 "성인용 챗봇 개발하지 않을 것"…윤리 책임 강조
- 메타, 청소년 AI 채팅 논란 대응…부모 통제 기능 도입
- 위키미디어, 생성형 AI 확산 경고…“신뢰할 수 있는 정보 줄어든다”
- AI가 면접 보고 채용까지…채용 플랫폼 잭앤질, 2000만달러 투자 유치
- AI 겨냥 속임수 잡아라...이력서 속 '보이지 않는 전쟁'
- 챗GPT, 외로운 대학생의 공부 파트너가 되다
- 챗GPT 활용한 G메일 청소법…구글도 놀란 해결책
- 챗GPT, 옛 호러영화 캐릭터 리메이크해보니…
- 앤트로픽, 클로드 기반 산업 AI 플랫폼 리졸브 공개…IFS 넥서스 블랙 협업
- AI 챗봇, 친구인가 스파이인가? 개인정보 논란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