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APEC CEO 서밋 2025'에서 특별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석대건 기자]](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0/601503_557900_521.jpe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 인공지능(AI) 허브로 지목했다. 엔비디아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은 31일 경주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2025' 특별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이 매우 특별한 시기에 있다"며 AI 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 역량, 과학기술 전문성, 제조 역량을 모두 갖춘 국가로 평가했다.
젠슨 황 CEO는 특히 AI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설명하며 한국의 전략적 위치를 강조했다. 젠슨 황 CEO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일을 수행하는 기술"이라며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처럼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와 달리 AI는 실제 업무를 대신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IT 산업이 수조 달러 규모라면 AI는 100조 달러 규모의 세계 산업을 다룰 수 있다"고 전망했다.
AI 산업에서 선순환 구조가 이미 시작됐다고도 평가했다. 젠슨 황은 "올해 AI가 수익성을 확보했다"며 "AI 품질이 향상되면서 더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사용량 증가가 수익으로 이어지며, 이는 다시 더 많은 AI 팩토리 건설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 6개월간 AI 추론과 사고 능력 향상했다며 AI 발전 속도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고 봤다.
엔비디아의 협력 파트너로 한국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한국이 가진 산업적 요소를 꼽았다. 젠슨 황 CEO는"세계에서 극소수 국가만이 AI 성공에 필수적인 세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다"며 "한국은 소프트웨어 전문성, 깊은 과학기술 역량, 제조 능력을 모두 보유한 국가"라고 평가했다.
◆젠슨 황 CEO "전 세계에 AI 팩토리 세워질 것" 전망
차세대 피지컬 AI인 로보틱스 분야에서 특히 유리한 조건이라는 설명이다. 피지컬 AI는 로봇, 자율주행차 등 현실 세계에서 인간처럼 시각과 언어를 이해하고 물리적 행동을 수행하는 AI를 의미한다.
젠슨 황은 "로봇이 로봇을 조율하고, 로봇인 제품을 생산하는 미래가 AI의 미래"라며 "한국은 기술 역량, 소프트웨어 역량, AI 역량과 함께 놀라운 제조·산업 기반을 갖춘 국가"라고 평가했다.
나아가 AI 팩토리 개념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젠슨 황 CEO는 "AI는 소프트웨어와 달리 에너지를 변환해 지능을 생산하는 공장이 필요하다"며 "전기나 인터넷처럼 AI 팩토리가 전 세계에 건설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엔비디아의 최신 시스템인 그레이스 블랙웰은 무게 2톤, 150만개 부품으로 구성되며 12만 와트를 소비하는 거대한 슈퍼컴퓨터다.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면담 전 악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0/601503_557901_628.jpg)
◆한국-엔비디아 "30년 파트너십, 이제 AI 국가 여정 함께"
이날 연설에 앞서 젠슨 황은 이재명 대통령과 접견했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네이버 이해진 의장이 동석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 목표"라며 "블랙록, 오픈AI 등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에 동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한국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발표하며 총 26만개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도입 계획을 공개했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을 세계 최대 GPU AI 인프라 보유국 중 하나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와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 협력을 넘어 AI 설계, AI 팩토리 구축, 디지털 트윈 개발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하며 5만개 GPU를 도입한다. SK그룹과도 HBM 메모리 협력과 함께 공장 디지털 트윈 구축, 5만개 GPU AI 팩토리 건설을 추진한다. 현대자동차와는 자율주행차 개발과 로봇 공장 구축을 위해 5만개 GPU를 도입하기로 했다. 네이버는 기존 협력을 확대해 6만개 GPU로 인프라를 늘리기로 했다.
젠슨 황 CEO은 "엔비디아가 한국에 진출한 지 30년이 됐다"며 "지난 30년간 엔비디아를 환영해준 한국에 감사하며, 이제 한국이 AI 국가가 되는 여정에 함께하게 돼 영광"이라고 말하며 연설을 마쳤다.
키워드
#엔비디아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쓰는 자만이 살아남는다"…젠슨 황의 AI 생존 공식
- 정부, 엔비디아와 AI 생태계 강화…GPU 확보 총력
- 네이버,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동맹…제조업 현장 적용 본격화
- 이재명 정부 'GPU 26만개 확보'...엔비디아와 초대형 협력
- 삼성·SK·현대차, 엔비디아와 전방위 AI 팩토리 협력
- "AI 주권은 아웃소싱 불가" 韓, 엔비디아 GPU 11만개로 소버린 AI 본격화
- 젠슨 황 방한, 삼성동 치킨집서 이재용·정의선 만나 회동
- 삼성전자, AI 메모리 주도권 탈환 노린다
- AI가 삼킨 기술 패권…엔비디아 '시총 5조달러'로 애플 잇는다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고성장 예고 "내년 매출 수천억달러 전망"
- 빅테크 '540조원' 규모 AI 투자 폭발…승자와 패자는 누구
- 젠슨 황 "中, AI 칩 자체 개발 충분…화웨이 경쟁력 경계"
- 샘 알트먼 "오픈AI, 2027년 1000억달러 매출 가능…계속 성장 중"
- 삼성전자-넥슨, 강남에 200평 규모 게이밍 공간 운영
- 최태원 SK 회장 "AI 스케일 경쟁 끝...이젠 효율이 승부처"
- 코스피 견인한 ‘엔비디아 효과’… 삼성·하이닉스·현대차 질주
- 네이버 밴드, 대규모 리뉴얼…글로벌 커뮤니티 도약 선언
- 트럼프, 엔비디아 AI 칩 수출 제한…中 AI 경쟁력 억제
- SK AI 서밋, 35000명 참가 성황 "국내 대표 AI 플랫폼"
- 삼성전자, LH와 AI 홈 모듈러 솔루션 전시
- 삼성전자, 소상공인 60여명과 무빙스타일 활용법 공유
- 삼성전자, AI 기술 컨퍼런스 개최
- 엔비디아, 코엑스서 'AI 데이 서울' 개최
- 삼성전자, 31만원대 AI 스마트폰 갤럭시A17 출시
- 삼성·SK가 미는 '마이크로LED 광통신'...AI 메모리 병목 해결사로 주목
- 삼성전자서비스, 수능 앞두고 전국 고사장 시스템에어컨 사전 점검
- 엔비디아 GPU 냉각 비용 폭등…차세대 시스템 더 비싸진다
- 젠슨 황 "美, AI 경쟁서 승리하려면 中 개발자와 협력해야"
- 삼성 '기술 빗장' 풀었다...AI·헬스케어 미래 먹거리 공개
- 삼성, 5년간 국내에 450조 쏟는다...AI·반도체 중심 지역투자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