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와 KT를 포함한 국내 6개사 업무협약식 모습. [사진: KT]](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0/601501_557899_5721.jpeg)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KT가 엔비디아를 비롯해 삼성전자, SK텔레콤, LG유플러스, ETRI, 연세대학교 등과 'AI-RAN 기술 및 서비스의 공동 연구 개발 및 글로벌 확산'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AI-RAN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 사이에 오가는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망 기술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을 AI-RAN 글로벌 허브로 육성하고 AI 네트워크 기술 상용화 및 국제 표준화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됐다.
KT는 지난 1월 AI-RAN 얼라이언스에 가입해 AI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 협의체는 현재 엔비디아와 소프트뱅크 등을 비롯한 110여개 회원사가 협력 중이다. KT는 글로벌 표준화 및 기술 검증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KT는 지난 9월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 중인 '사용자 맞춤형 이동성 및 연결 안정화' 기술을 AI-RAN 얼라이언스 워킹 그룹 1에 신규 연구 아이템으로 제안했으며 현재 관련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 기술은 사용자 이동 경로와 네트워크 환경을 AI로 실시간 분석해 문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사용자별 최적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 적용한다. KT는 이달 초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AI-RAN 얼라이언스 전체 미팅에서 연구 개발 성과와 실증 결과를 발표한다.
또한 KT는 지난 8월 국내 최초로 상용 5G 네트워크에 AI-RAN 기술을 적용해 고객 체감속도 품질을 향상시키는 검증을 완료했다. 이 외에도 아시아 최대 통신사업자 전략 협의체인 SCFA를 통해 NTT 도코모, 차이나모바일 등과 AI 네이티브 네트워크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했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KT는 글로벌 네트워크 혁신을 선도하고 6G 시대를 대비한 AI 기반 차세대 통신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주요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AI 네트워크 기술 상용화와 글로벌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KT, 크루AI와 전략적 파트너십…'AI 에이전트' 확산 협력
- KT, 국내 첫 '도심항공교통' 실증자격 획득
- KT, 마이크로소프트 협력 가속화…'이노베이션 허브' 개소
- 삼성전자-넥슨, 강남에 200평 규모 게이밍 공간 운영
- SK AI 서밋, 35000명 참가 성황 "국내 대표 AI 플랫폼"
- 삼성전자, LH와 AI 홈 모듈러 솔루션 전시
- 삼성전자, 소상공인 60여명과 무빙스타일 활용법 공유
- 삼성전자, AI 기술 컨퍼런스 개최
- 엔비디아, 코엑스서 'AI 데이 서울' 개최
- 삼성전자, 31만원대 AI 스마트폰 갤럭시A17 출시
- 삼성전자서비스, 수능 앞두고 전국 고사장 시스템에어컨 사전 점검
- KT, 이동식 AI 스테이션으로 찾아가는 교육 진행
- 삼성 '기술 빗장' 풀었다...AI·헬스케어 미래 먹거리 공개
- 소프트뱅크, 엔비디아 지분 전량 매각…오픈AI 투자 올인
- 삼성, 나눔키오스크로 10년간 112억원 모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