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공개된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목업(모형) [사진: 삼성SDI]](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0/601253_557703_3657.jpe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삼성SDI가 BMW·솔리드파워와 전고체 배터리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삼성SDI는 독일 BMW, 미국 솔리드파워(Solid Power)와 전고체 배터리 실증을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삼성SDI는 솔리드파워가 개발한 고체 전해질을 활용해 전고체 배터리 셀을 공급한다. BMW는 이를 기반으로 전고체 배터리 모듈과 팩을 개발한다. 3사는 BMW의 차세대 테스트 차량에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해 실제 성능을 검증한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다. 기존 배터리 대비 안전성이 높고 에너지밀도 구현이 가능하다. 전기차 탑재 시 같은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벼우면서 주행거리는 늘릴 수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BMW는 2009년 전기차 배터리 공급업체로 삼성SDI를 정하고 이후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
삼성SDI는 2023년 3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전고체 파일럿 라인을 수원 SDI연구소에 구축했다. 2023년 말부터 시제품 생산에 돌입해 현재 여러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하고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배터리 셀 대형화를 통해 매년 용량을 증가시켜 왔으며 제조기술과 공급망 수립 등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위한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전기차뿐 아니라 높은 에너지밀도를 요구하는 로봇 등 신규 시장에서도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SDI는 최근 잠재 고객들과 협의를 이어가며 양산을 추진 중이다.
고주영 삼성SDI ASB사업화추진팀장(부사장)은 "배터리의 기술경쟁력이 곧 전기차의 혁신으로 이어진다"며 "BMW, 솔리드파워와 같은 글로벌 파트너와 긴밀하게 기술 협력을 이어가며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마틴 슈스터 BMW그룹 배터리셀·셀모듈 담당임원은 "삼성SDI가 동참함으로써 차세대 배터리 셀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되었다"며 "이번 글로벌 협력은 최첨단 배터리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BMW의 목표를 입증하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존 반 스코터 솔리드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삼성SDI, BMW와 함께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게 돼 기쁘다"며 "글로벌 완성차 및 배터리 부문의 선도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삼성SDI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삼성SDI, 3분기 영업손실 5913억...전년비 적자전환
- 삼성 19개 계열사, 신입사원 선발 적성검사 실시
- 취임 3주년 '이재용 리더십' 주목...AI 중심 '뉴 삼성' 청사진 나오나
- 삼성SDI, 전기안전공사와 ESS 산업 안전 협약 체결
- 삼성SDI 성장 이끈 전영현 전략, 삼성전자서도 통했다
- 美 보조금 소멸...배터리 3사 엇갈리는 3분기 실적 전망
- BMW, 유엔 자율주행 규정 첫 승인…고속도로 '핸즈오프' 주행 가능
- ESS 시장에 운명 건 K배터리...라인 전환 가속
- BMW, 아마존 AI 비서 '알렉사+' 탑재…더 자연스러운 음성 명령 지원
- 中 GAC, 전고체 배터리 생산라인 가동…전기차 주행거리 2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