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좌측은 4캠퍼스 부지 [사진: 에코프로]
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좌측은 4캠퍼스 부지 [사진: 에코프로]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에코프로가 자체 개발한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기술 검증을 완료하고 양산 준비에 착수했다. 에코프로는 자동차 OEM들의 양극소재 가격 인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HVM(고전압 미드니켈)을 개발해 최근 기술 검증을 마무리하고 라인 구축에 나섰다고 28일 밝혔다. 

미드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이 60% 수준으로 하이니켈(니켈함량 90% 이상)보다 낮다. 삼원계 양극재의 주요 원료인 니켈의 원가 비중은 70% 안팎이다. 니켈 함량을 낮추면 양극재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

에코프로는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투자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인니 술라웨시섬 IMIP 산업단지내 4개 제련소에 약 7000억원을 투자했다. IGIP 산업단지에서 약 6만6000톤 규모의 니켈 중간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2단계 투자 계획도 수립 중이다. 양질의 니켈을 저렴하게 확보해 미드니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전망이다.

에코프로가 개발한 HVM은 단결정으로 고전압 성능을 확보했다.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한 것이 기술적 차별점이다. 기존 미드니켈 배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저온 성능까지 개선했다. 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에코프로는 HVM을 활용해 중저가 모델에서도 시장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단결정은 양극재 입자가 하나의 연속된 결정구조로 이뤄진 소재다. 충방전이 반복되더라도 구조가 깨지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 글로벌 자동차 OEM 및 셀 업체들과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다. 2027년 본격 양산을 위해 라인 개조에 착수했다.

미드니켈 생산 기지는 포항에 구축한다. 향후 헝가리 양극재 라인에도 적용해 유럽 OEM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헝가리 공장은 총 면적 44만㎡ 부지에 3개 라인 기준 연 5만4000톤 생산 캐파를 갖췄다.

시장이 확대되면 비슷한 규모 3개 라인을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하이니켈에서 미드니켈로 제품 다각화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킨다는 전략이다. 인도네시아 니켈 프로젝트로 확보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공보현 에코프로비엠 개발담당 상무는 "자체 개발한 단결정 양극재 기술을 미드니켈 소재에 적용해 높은 전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줄여 성능을 개선시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