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와 GM, 모터 냉각 기술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사진: Reve AI]](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0/597438_554968_3248.png)
[디지털투데이 이윤서 기자] 전기차 모터 냉각 기술에서 테슬라와 제너럴 모터스(GM)가 완전히 다른 접근법을 택했다. 같은 '전기 구동 효율'을 목표로 하지만, 접근 방식은 정반대에 가깝다. 각 기업의 전략을 파헤쳐 본다.
15일(현지시간) 전기차 매체 인사이드EV는 전기차 전문 해체 분석업체 먼로앤드어소시에이츠(Munro & Associates)가 테슬라 사이버트럭과 쉐보레 이쿼녹스 전기차(EV)의 모터를 분해해 내부 구조와 냉각 시스템을 비교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테슬라와 GM은 열 관리에서 뚜렷하게 다른 철학을 보여줬다.
먼저 GM이다. GM은 중력과 기계적 설계를 활용해 오일을 순환시키는 단순 냉각 방식을 적용했다. 모터의 회전력으로 오일을 위로 튀겨 올리고, 중력으로 다시 흘려보내는 자연 순환 구조다. 이 오일이 모터의 권선과 자석, 하우징을 통과하며 열을 흡수하며, 복잡한 펌프나 배관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고장 위험이 적고, 전력 소모도 거의 없다. 제조 단가를 낮추고 유지보수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다만 회전 속도에 따라 냉각 효율이 달라져 정차나 저속 주행, 혹은 경사로에서는 냉각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테슬라는 이와 반대로 고압 펌프를 이용해 오일을 특정 경로로 강제 순환시키는 정밀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오일은 전기 권선과 자석 주변을 직접 통과하며 열을 제거하고, 모터 외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이렇게 하면 케이스의 전기 저항이 높아져 에너지 손실을 일으키는 와전류(eddy current) 발생이 줄어든다. 효율은 높지만, 펌프 구동을 위한 추가 전력 소모와 복잡한 구조로 인한 제작비 상승이 불가피하다.
결국 GM은 단순성과 비용 절감을, 테슬라는 효율성과 성능 극대화를 선택했다. 두 기업 모두 자사 플랫폼과 생산 전략에 맞는 최적의 방식을 택한 셈이다.
전기차 산업에서 열 관리 기술은 이제 모터의 성능과 내구성, 나아가 제조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테슬라 모델Y·3 신차 출시도 소용없다…中·유럽 판매 감소
- 테슬라 급속충전표준, 기대와 달리 '게임체인저' 실패?
- GM, 애플 카키 지원 준비…백엔드 코드 추가 포착
- 미국 전기차 시장 베스트 7종 소개…쉐보레부터 테슬라까지
- 테슬라, 영화 '트론: 아레스' 테마 기능 추가…광고 과잉 우려도
- GM, 전기차 전략 수정…세금 공제 종료 여파로 16억달러 타격
- 테슬라 사이버트럭, 3분기 판매 62% 급감… 시장에서 밀려나나
- 잘 안팔리는 테슬라 사이버트럭, 스페이스X와 xAI가 떠안았다
- 테슬라, '매드맥스 모드' 부활…자율주행 안전 규제 속 강행
- 유럽 전기차 배터리 가격 하락 가속…2~4년 내 내연차보다 싸진다
- 전기 트럭, 장거리 운송 한계 극복…실제 주행 데이터로 입증
- 테슬라 핵심 인재 줄줄이 이탈…신규 채용은 '깜깜이'
- 테슬라, 판매량 신기록에도 우려 여전…해외 부진·CEO 리스크 탓
- 테슬라 유튜버, 자율주행 미국 대장정 도전…100km도 못 가 '쾅'
- 中 로보센스 CEO "라이다 없이 자율주행 한계"…라이다 논쟁 확산
- 테슬라, 실물 키카드 제공 중단?…모델3·Y 해당
- GM, 전기차·관세 압박에도 3분기 실적 선방…주가 15% 급등
- GM, 브라이트드롭 전기 밴 생산 중단…상업용 EV 시장 침체 영향
- 손·눈 떼도 된다…GM '아이즈 오프' 자율주행차 2028년 출시
- 테슬라, 사이버트럭 6200대 리콜…안전 문제 계속
- 테슬라 모델Y, 보증 연장할까? 말까?…4년차 오너의 고민
- 일론 머스크 고집 꺾나…테슬라, 애플 카플레이 지원 검토
- 테슬라 vs 웨이모, 로보택시 규제 놓고 충돌…레벨2도 로보택시?
- 전기차, 더 이상 '언젠가'의 선택 아니다…지금 사야 하는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