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왼쪽)이 14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응답하고 있다. [사진: 국회방송 생중계 갈무리]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왼쪽)이 14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응답하고 있다. [사진: 국회방송 생중계 갈무리]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카카오톡 대규모 업데이트에 따른 이용자 불편이 국정감사 쟁점으로 부상했다. 카카오 측은 개선 의지를 밝혔으나 이전 버전으로의 완전한 복원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용자들의 불편 사항과 개선 요구를 면밀히 파악하고 있다"며 "조만간 개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롤백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질의에서 카카오톡 업데이트 이후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 1점 리뷰가 폭주하고 있는 상황을 지적했다. 황 의원은 "카카오를 신뢰해온 이용자들의 뒤통수를 친 것 아니냐"며 "사과할 용의가 있느냐"고 물었다.

우 부사장은 롤백 불가 사유와 관련해 "버전 2.0에서 1.0으로 돌아가는 것과 달리, 2.0에서 2.11로 진화한 상황에서 완전히 이전으로 복원하는 것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업데이트를 받지 않은 이용자는 기존 버전을 계속 사용할 수 있으나, 향후 제품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제기된 광고 수익 때문에 롤백을 회피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우 부사장은 "그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광고 수익은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미성년자의 숏폼 무제한 노출 문제도 논란이 됐다. 황 의원은 "본질적인 서비스 변동에 대한 사전 고지가 전혀 없었다"며 "미성년자들이 숏폼을 강제로 시청하게 되는 것은 디지털 공해를 넘어 디지털 테러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우 부사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만 14세 미만 이용자에 대해서는 맞춤형 광고 목적의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있다"며 "이 권고를 준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다만 성인 이용자에 대해서는 비식별 행태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향후 이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 부사장은 "활용 시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법령을 준수해 사전 동의를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카오는 올해 4분기 내 친구탭 개선 방안을 적용할 계획이지만, 그 이상의 롤백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