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사옥 [사진:네이버]](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10/596563_554252_4017.jpg)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네이버가 댓글 좌표찍기, 공감·비공감 조작 등 어뷰징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악성 댓글 지수'를 포함한 정치 섹션 중심의 댓글 서비스 개선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양문석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안산시 갑)이 네이버로부터 제출받은 '네이버 뉴스 댓글 서비스 개선안'(이하 개선안)에 따르면, 네이버는 정치 섹션으로 분류된 기사의 경우 기사 본문 하단에 있는 댓글 영역을 비활성화 하고 댓글을 보고 싶은 이용자에 한해 '전체 댓글 보기' 또는 '언론사 댓글로 이동'을 클릭해서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또 장기적으로는 '악성 댓글 지수'를 도입해 지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댓글 목록을 비활성화하거나 댓글 정렬 방식을 공감순이 아닌 최신순으로 제한적으로 노출하는 방안도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정책은 일본 야후재팬이 2021년 10월부터 시행 중인 AI 기반 악성 댓글 점수화 제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점수가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해당 기사의 댓글란을 자동으로 닫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공감·비공감 트래픽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댓글 목록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댓글 정렬 방식을 최신순으로 제한하는 정책을 9월부터 적용중이라고 밝혔다.
양 의원에 따르면 네이버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타인의 명예나 사생활, 초상권 등을 침해하는 게시물에 대해 ‘게시중단 요청 서비스'를 운영중이며, 이를 통해 월평균 1만5000~2만건의 콘텐츠를 임시조치(삭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남성연대·리박스쿨 등 댓글 조작 세력의 '좌표 찍기'와 같은 인위적 여론조작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대선을 앞둔 지난 4월부터 '이용자 반응 급증 감지 시스템'을 도입해 최근까지 약 60건의 이상 반응을 탐지했다고 양 의원은 전했다.
양문석 의원은 "탄핵과 대선 과정에서 드러난 신남성연대·리박스쿨 등의 댓글 조작 세력은 명백히 민주주의를 교란한 범죄 세력"이라며 "국민 여론이 특정 세력의 '좌표찍기'에 휘둘리는 현실을 방관해선 안 된다. 네이버는 국가의 대표 포털로서 건전한 여론 형성과 민주주의 수호에 걸맞은 책임과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양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네이버 뉴스 서비스 정책을 점검하기 위해 뉴스총괄 김수향 전무를 증인으로 신청했으나, 네이버가 댓글 서비스 개선을 약속한 만큼 증인 신청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