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이널리시스의 분석은 암호화폐 범죄 대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각국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사진: 셔터스톡]
체이널리시스의 분석은 암호화폐 범죄 대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각국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암호화폐를 국가 비축 자산으로 고려하는 가운데, 체이널리시스는 정부가 이미 750억달러(약 106조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압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체이널리시스는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불법 활동과 연관된 온체인 암호화폐 자산 규모가 750억달러를 넘어선다고 추산했다. 이 중 약 150억달러는 불법 단체가 직접 보유하고, 나머지 600억달러는 이들과 연관된 지갑에 분산돼 있다고 분석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다크넷 마켓 운영자와 판매자들이 통제하고 있는 암호화폐만 해도 400억달러 이상으로, 전체 불법 관련 자산의 75%는 비트코인(BTC)으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는 이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 중인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및 디지털 자산 축적 계획과 연관해 압류 가능성을 언급했다. 조너선 레빈 체이널리시스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자산 압류의 가능성이 완전히 다른 수준으로 올라갔다"며 "이는 각국의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캐나다 당국은 최근 무등록 거래소 트레이드오그레에서 4000만달러 상당의 디지털 자산을 압류했으며,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규제 권한을 넘어선 조치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