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혁수 LG이노텍 대표가 최근 열린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임직원들에게 미래 신사업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LG이노텍]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LG이노텍이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확대한다. 문혁수 대표가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함께 달려 나가자"고 말했다고 30일 회사는 전했다.

지난 2023년 말 CEO로 취임한 문 대표는 미래 신사업 확장에 집중해왔다. 이날 문 대표는 "우리의 가장 큰 미래 자산인 고부가 원천기술과 글로벌 톱티어 고객들과 협력하며 체득해 온 사업 경험을 발판 삼아, 차별적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또 다른 일등 사업을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LG이노텍은 2030년까지 센싱·통신·조명 등 AD/ADAS용 부품 사업을 5조원, AI·반도체·통신용 등 고부가 기판 사업을 3조원 규모로 키운다는 목표다. 센싱 분야에는 차량 카메라·라이다·레이더가, 통신 분야에는 디지털키·5G 통신모듈·AP모듈이, 조명 분야에는 넥슬라이드가 포함된다. 고부가 기판에는 FC-BGA, RF-SiP 등이 해당한다. 여기에 로봇,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 신규 추진 사업을 더해 미래 육성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LG이노텍의 광학솔루션연구소장, 사업부장 등을 역임한 문 대표는 광학솔루션 사업을 글로벌 1위로 성장시키는 데 역할을 했다. CEO 취임 전 약 1년간 CSO를 맡으며 광학솔루션사업, 기판소재, 전장부품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결과 "LG이노텍의 미래는 회사가 축적해 온 확장성 높은 원천기술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최근 라이다 기술 기업인 미국 아에바(Aev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문 대표는 기존 차량 카메라만으로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가 요하는 센싱 기능 구현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라이다 사업화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아에바를 통해 라이다 첫 공급이 가시화되면서, 문 대표는 최근 라이다 사업담당을 광학솔루션산업부로 이관했다. 라이다 생산을 앞두고 차량 카메라 모듈 생산 역량을 확보한 광학솔루션사업부와의 시너지 효과를 위한 결정이다.

파트너십 일환으로 LG이노텍은 아에바의 초슬림·초장거리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주파수 변조 연속파) 고정형 라이다 모듈 공급사로 선정됐다. 제품은 아에바의 소프트웨어와 결합돼 글로벌 톱티어 완성차 고객의 차량에 탑재될 예정이다. 제품의 양산 목표시점은 2028년이다. 

고객이 요구한 스펙(두께, 크기 등)에 맞게 제품이 구현됐는지 검사하는 LQC(Line Quality Control) 과정 [사진: LG이노텍]
고객이 요구한 스펙(두께, 크기 등)에 맞게 제품이 구현됐는지 검사하는 LQC(Line Quality Control) 과정 [사진: LG이노텍]

문 대표는 라이다와 함께 자율주행용 센싱 솔루션 포트폴리오 완성을 위해 레이더(Radar) 사업도 육성하고 있다. LG이노텍은 이달 초 4D 이미징 레이더 전문기업인 스마트레이더시스템에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LG이노텍의 지분율은 4.9%다.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비정형 어레이 안테나 설계 기술 등 레이더 관련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내 벤처 기업이다.

차량 카메라와 동시에 라이다·레이더 사업을 집중 육성하여 LG이노텍을 미래 모빌리티 센싱 시장을 선도하는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포지셔닝한다는 전략이다. 2030년까지 모빌리티 센싱 솔루션 사업을 2조원 규모로, 이를 포함한 AD/ADAS용 부품 사업(센싱·통신·조명)을 5조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로봇용 부품 사업도 미래 먹거리 사업이다. LG이노텍은 지난 5월 로보틱스 분야 기업인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와 로봇용 부품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LG이노텍의 광학 센싱 기술력이 파트너십 성사에 작용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로봇의 눈 역할을 하는 비전 센싱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 LG이노텍은 보스턴다이내믹스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의 차세대 모델에 장착될 비전 센싱 모듈을 개발한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비전 센싱 모듈에서 인식된 시각 데이터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LG이노텍은 로봇용 부품 시장 선점에 유리한 상황이다. LG이노텍은 다양한 글로벌 로봇 기업들과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통해 로봇용 부품 시장 선도 입지를 확보한다는 게 문 대표의 구상이다. LG이노텍은 올 초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모듈(Application Processor Module, AP 모듈) 시장에 진출하며 기존 전장부품사업을 차량용 반도체 분야로 확대했다.

차량용 AP 모듈은 차량 내부에 장착돼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과 같은 자동차 전자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반도체 부품이다. 올해 전세계 차량에 탑재된 AP 모듈은 총 3300만개로, 2030년에는 1억1300만개까지 매년 22%씩 늘어날 전망이다. 문 대표는 차량용 AP 모듈과 반도체 기판인 FC-BGA를 필두로 LG이노텍을 반도체용 부품 시장 키 플레이어로 포지셔닝하여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문 대표는 "자율주행과 같은 미래 모빌리티 및 로보틱스는 물론, AI·우주·메디컬 분야까지 LG이노텍의 원천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며 "새로운 기술의 S-커브를 만들 수 있는 고객과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여, 고객과 함께 새로운 미래를 그려 나가는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로 거듭나는 것이 LG이노텍이 나아가고자하는 방향"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LG이노텍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