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딥 네일왈 폴리곤 공동창립자 겸 CEO가 24일 그랜드워커힐에서 열린 KBW IMPACT 행사에서 디지털투데이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산딥 네일왈 폴리곤 공동창립자 겸 CEO가 24일 그랜드워커힐에서 열린 KBW IMPACT 행사에서 디지털투데이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레이어2 블록체인 네트워크 폴리곤(Polygon)의 공동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 산딥 네일왈이 "한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된다면 가상자산 거래소 간 송금·국경 간 결제 등 글로벌 금융 흐름에서 가장 먼저 가치를 입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4일 서울 그랜드워커힐에서 진행된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 IMPACT 행사에서 만난 네일왈은 한국처럼 이미 결제 인프라가 고도화된 국가일수록 스테이블코인이 새로운 가치와 효용을 증명할 수 있다며 첫 무대로 해외송금·크로스보더 결제를 꼽았다.

또 네일왈은 폴리곤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전략에 대해 "우리는 지금 결제와 스테이블코인에 완전히 집중하고 있다"며 "단순 인프라 제공을 넘어 기업이 외환 헤지나 환전 등 고급 금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구축해 폴리곤을 다중체인 스테이블코인 허브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USDT·USDC뿐 아니라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이 폴리곤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외환시장과 연계된 서비스 수요도 커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와 협력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필리핀 페소, 일본 엔화, 인도 루피 등 여러 지역 스테이블코인이 이미 폴리곤에서 발행됐다"며 "한국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면 기술과 네트워크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관련해 폴리곤이 개발자를 지원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폴리곤은 8~9년 동안 기술·라이브러리·컴플라이언스 구조가 성숙해 개발자들이 필요한 모든 것을 한곳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며 "신규 스테이블코인이 합류할 때는 글로벌 송금·리밋턴스(해외송금) 앱과의 연계를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우리가 가장 주목하는 건 결제·송금 등 금융(BFSI) 분야"라며 "일부 대형 기업과 카드사들이 자체 체인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는 프로젝트와도 협력 중"이라고 했다.

각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환경은 미국 외 국가들의 달러화(dollarization) 견제 추세와 맞물려 개선될 여지가 크다고 봤다. 그는 "폴리곤은 현재 USDC 일일 활성 사용자수 1위의 체인이고, USDT는 3위다. 무엇보다 비 달러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는 60~7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며 "각국이 자국 경제의 달러화를 우려해 자국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허용하는 추세로, 한국도 관련 규제를 마련하는 등 제도 환경은 점점 개선될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결제 촉매 가능성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사용처와 관련해서는 크립토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송금, 크로스보더 결제에서 쓰임새를 넓혀갈 것이란 시각이다. 그는 "한국처럼 결제 인프라가 이미 성숙한 지역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어떤 새로운 가치를 줄 수 있을지는 처음엔 분명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암호화폐 거래소 간 송금, 글로벌 송금과 같은 크로스보더 결제가 우선적으로 시장을 넓혀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에서 한국으로 송금할 때 4~5%의 수수료가 붙는데,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금융 트랙의 새로운 레일이 돼 이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블록체인 확장성이 높아지면 내수 결제 영역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해 10~20년 후에는 국경 안팎 금융 시스템이 하나의 블록체인 기반 스택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그는 달러화 의존과 통화주권 문제를 언급했다. 네일왈은 "미국 달러는 글로벌 네트워크 효과가 매우 강력해 각국이 자국민이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강력한 규제를 만들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블록체인 덕분에 환전과 결제가 워낙 쉬워져 사람들이 중간 통화를 의식하지 않고 거래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