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크래프톤 공동 주최 특별 강연에서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 창업자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 최종현학술원]
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크래프톤 공동 주최 특별 강연에서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 창업자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 최종현학술원]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뉴럴링크(Neuralink) 공동창업자 서동진 박사가 "앞으로 3~4년 내 건강한 일반인도 뇌 인터페이스 이식을 고민할 전환점이 찾아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동진 박사가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크래프톤 공동 주최 강연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기술의 현황과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와 서동진 박사를 비롯한 8명의 신경과학자·엔지니어가 창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이다. 인간의 뇌에 칩을 심어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기계와 직접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신경 질환 환자의 회복을 넘어 인간 능력의 확장과 새로운 차원의 경험을 여는 것이 목표다.

서동진 박사는 미국의 전신 마비 환자 놀란드의 사례를 소개했다. 놀란드는 20개월 전 뉴럴링크 칩을 이식한 뒤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게 됐다. 서 박사는 "임상 참여자들이 하루에 7시간 40분 동안 이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는 일주일에 100시간 이상 활용할 정도로 삶의 도구로 자리 잡았다"며 "단순한 재활을 넘어 환자의 사회 복귀와 자아 실현을 가능케 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럴링크가 개발한 전극 실은 머리카락 굵기의 20분의 1에 정도다. 뇌 운동피질에 삽입돼 뉴런의 신호를 정밀하게 수집한다. 이 신호는 무선으로 전송·압축돼 알고리즘이 해석하고, 사용자의 움직임 의도를 실시간으로 디지털 입력으로 변환한다. 서 박사는 "기존 의학적 보조장치와 달리, 뉴럴링크는 뇌의 본래 신호를 읽고 확장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럴링크는 내달부터 언어 장애 환자가 목소리를 되찾는 임상시험을 시작한다. 블라인드사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시각을 잃은 환자에게 전극 자극으로 시각을 복원하는 연구도 추진 중이다. 서동진 박사는 "뉴럴링크의 목표는 전체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전뇌 인터페이스(Whole Brain Interface)"라며 "AI와 결합해 인간-기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지적 지평을 열겠다"고 말했다.

강연 후 대담에서는 정재승 KAIST 교수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의 파급력을 논의했다. 서동진 박사는 "향후 3~4년 내에는 건강한 일반인도 뇌 인터페이스 이식을 선택하는 전환점이 올 것"이라며 "뇌-기계 연결은 결국 학습·기억 증강, 시각 복원 등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뉴럴링크의 신호 전송 속도가 척수를 거쳐 근육을 움직이는 신호보다 10배 이상 빠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