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인해 랜섬웨어가 확산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9/591251_549841_2056.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인공지능(AI)이 랜섬웨어 공격을 주도하는 시대가 열렸다.
10일(현지시간) IT매체 테크레이더가 MIT 슬론(MIT Sloan)과 세이프 시큐리티(Safe Security)의 2800건 랜섬웨어 공격 분석 내용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전체 랜섬웨어의 80%가 AI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캠페인, 딥페이크 소셜 엔지니어링을 가능하게 하며, 대규모언어모델(LLM)은 암호 해독, 자동 코드 생성, 캡차(CAPTCHA) 우회를 지원한다.
기존 보안 체계로는 AI 기반 공격을 막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보안 전문가들은 자동화된 보안 위생, 자율 방어 시스템, 실시간 위협 정보 공유를 결합한 다층 방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AI가 공격과 방어 모두를 강화하는 만큼, 기업들은 대응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더 큰 위험에 직면할 것이다. AI가 주도하는 사이버 보안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암호화폐 노린 NPM 공격…피해액 '50달러'
- 스위스보그, 보안 해킹으로 500억원대 솔라나 도난
- 암호화폐 피싱 사기 72% 급증…보안 '비상'
- 코인베이스가 쓰는 AI 코딩 툴 커서 '카피파스타' 공격 취약
-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이 '악성코드 통로' 된다고?
- 북한 해커, 블록체인 기업 위장 침투…68만달러 빼돌려
- 디스코드서 암호화폐 사기 급증…'게임 해보세요' 미끼로 2억원 탈취
- 美 FTC, AI 챗봇 안전성 조사…알파벳·메타·오픈AI 등 포함
- 유럽 공항 대혼란, 랜섬웨어 공격 원인…EU 사이버 보안 기관 발표
- AI 피싱, 더 교묘해졌다…Z세대 '62%' 속았다
- 랜섬웨어 공격, 80%가 몸값 지불…범죄자들만 배불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