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 SKT]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 SKT]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국가대표 AI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SKT는 유 사장이 지난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한국 AI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을 열겠다는 의지를 다졌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비롯해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5개 정예팀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SKT는 올해 안에 오픈소스 SOTA(State Of The Art)급에 근접한 모델을 올해 안에 구현하는 게 목표다. SOTA는 해당 분야에서 현재 가장 혁신적이고 발전된 수준을 의미한다. 

유영상 사장은 "제한된 시간과 자원으로 최고 수준 AI를 만드는 것은 매우 도전적인 과제"라며 "SOTA급 AI 모델 달성은 기술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목표로서 지체할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올해 말 1차 단계평가를 진행한다. 국민·전문가 평가를 비롯해 ▲벤치마크 등 기반 검증평가(AI 안전성 연계) ▲파생 AI 모델 수 평가 등을 포함한 입체적 단계평가가 이뤄질 예정이다. 

SKT 정예팀은 2019년부터 한국형 AI 모델을 자체 개발한 경험과 AI 에이전트 에이닷(A.)을 상용화하며 수렴한 고객 목소리를 바탕으로 편의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모델을 만든다는 각오다. 서울대학교 연구실들과 KAIST 연구진, 위스콘신 메디슨 대학교 연구진 등 국내외 석학이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한다.

프로젝트 핵심 목표는 한국어 처리 능력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달성하면서도 다국어 지원과 멀티모달 기능을 갖춘 차세대 AI 모델 개발이다. SKT는 한국 문화적 맥락과 정서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AI 기술 구현을 통해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AI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유영상 SKT 사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 전체의 혁신적 도약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