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기 팹 공사 현장(2025년 2월 기준) [사진: SK하이닉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8/587879_547096_4024.pn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한계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가 서울 면적의 1.9%에 불과한 클러스터에 막대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의 물리적 가능 여부부터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용인 클러스터의 면적당 전력 밀도는 서울의 32배에 달한다.
수치로 보면 2024년 서울·남서울 변전소 피상전력 약 35GVA(기가 볼트암페어)의 60%인 21GVA를 용인 클러스터에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유재국 선임연구관은 설명했다. 이는 서울 전체 전력 공급 능력의 절반 이상을 좁은 지역에 집중시키는 셈이다.
정부는 국가전략산업인 반도체 육성을 위해 용인에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025년 2월 공사를 시작해 2027년 5월 준공 예정이고, 삼성전자는 2026년 중 착공해 2031년까지 6개 팹을 완공할 계획이다. 유재국 선임연구관은 클러스터 팹 가동을 위해 최대 16GW의 전력공급이 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전력 품질이 중요한 만큼 전압과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중단 없는 안정적 전기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양질의 전기로 설비를 가동할 때 수율이 높아진다고 유재국 선임연구관은 설명했다.
전력 공급 계획의 위험 요소도 산적해 있다. 송전망 건설 가능성과 HVDC(초고압직류망) 건설 지연 같은 물리적 위험부터 LNG 가격 변동에 따른 경제적 위험까지 다층적이다. 게다가 팹은 1분 내외의 정전만으로도 사업자에게 수십억원의 피해를 안긴다. 여기에 주파수·전압 불안정과 정전 우려 같은 기술적 위험과 지방자치단체·주민 협의 난항이라는 사회적 위험이 겹쳐 있다고 유재국 선임연구관은 진단했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인근 교통망 [사진: 국토교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8/587879_547097_4217.jpg)
RE100(재생에너지 100%) 이행도 난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RE100을 선언했지만 산업단지 내 태양광 설치 여유 부지가 없다. 결국 용인 반도체 회사들의 RE100 이행은 인증서 구매방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유재국 선임연구관은 현재 여러 계획에서 재생에너지 공급계획은 보이지 않고 LNG 발전 공급계획만 나타나는 것은 탄소중립 목표와 역행한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8월 14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다 보면 전기요금이 오를 수밖에 없다"며 "환경문제와 경제문제는 분리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기후위기를 성장 기회로 만들어 달라"며 "재생에너지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려서 국가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전력공사의 재정 부담은 이미 한계에 달했다. 한전은 2025년 2분기 기준 206조원 적자를 기록하고 차입금은 약 86조5000억원에 이른다. 2028년까지 상환해야 할 원화사채가 약 49조원인데, 2024~2038년까지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포함해 전력망에 73조원 이상을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기후위기에 대응 못한 것은 정부·정책 실패"
이런 중첩된 문제를 풀기 위한 부처 역시 분산된 상황이다. 현재 기후위기 대응 사무는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에서 담당하지만,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94.3%를 차지하는 에너지와 산업공정 부문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관장한다. 이승만 입법조사관은 이 같은 부처 간 기능 분산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목표 달성이 미흡하고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가 미진했다고 분석했다.
해외 사례에서 상반된 모습을 보여준다. 영국은 2008년 에너지·기후변화부 신설 후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를 거쳐 현재 에너지안보·탄소중립부로 발전했다. 기후·에너지 통합 부처와 강력한 정책 집행으로 2024년 9월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며 G7 최초 탈석탄을 달성했다.
반면 독일은 정반대 행보를 보였다. 지난 5월 취임한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신설이 처음부터 잘못된 구상이었다고 비판하며 경제 기능과 기후변화 대응 기능을 분리했다. 연방경제에너지부로 회귀시켜 통합부처 실험을 사실상 포기했다.
국내에서는 기후에너지부 신설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제22대 국회에서 김소희·박정 의원은 환경부 명칭을 기후환경부로 변경하는 법률안을, 허성무·박지혜·윤준병 의원은 기후에너지부 신설 법률안을 각각 발의했다. 이승만 입법조사관은 기후위기 대응을 목적함수로, 에너지를 제약조건으로 인식하고 통합과 균형의 원리 아래 조직개편을 추진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승만 입법조사관은 "에너지라는 제약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후위기 대응 정책은 해가 될 수 없고, 제약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지 못하는 것은 정부·정책 실패"라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샘 알트먼 "GPU 100배 더 필요"…AI 패권 경쟁 가속
- "정부가 완충 역할해야" 과기정통부, 실험실 창업 지원 정책 강화 나선다
- 퀄컴, 모바일·PC 넘어 데이터센터 칩으로 확장 행보 점점 구체화
- 리벨리온, 칩렛 기반 블랙웰급 AI반도체 '리벨쿼드' 공개
- 트럼프 대통령, 디지털세 규제국에 추가 관세 경고…"반드시 철회해야"
- 엔비디아 2분기 실적 발표 앞두고 테크판 술렁...AI 성장 계속할까?
- TSMC, 미국 압박에 굴복? 중국 반도체 장비 퇴출 검토
- 워싱턴 '반도체 서밋'... 한미 정상회담 후 AI 동맹 '포옹'
- HBM 가뭄 끝나나...공급 부족 해소로 '솔드아웃' 마감 눈앞
- 삼성전자, 2025년형 TV에 MS AI '코파일럿' 탑재
- SK하이닉스, 발열 문제 해결한 모바일 D램 개발
- 李정부 첫 예산 728조·8%대 확장재정…성장엔진 AI·R&D 베팅
- 하반기 IT세트 시장, AI서버가 성장 주도...스마트폰·PC는 완만
- 미국, 삼성·SK 중국공장 장비반입 포괄허가 취소
- 삼성전자, AI 구독클럽에 전용 케어 '블루패스' 도입
- 8월 수출, 美 관세에도 1.3%↑…반도체·차·선박 '견인'
- 흔들리는 경유국 수출 지형...미국 관세 이중 타격 현실화
- 핀란드서 세계 최대 '모래 배터리' 가동… 탄소중립 새 해법 될까
- SK하이닉스, 차세대 메모리 양산용 '하이 NA EUV' 도입
- SK하이닉스 임금협상 타결...10%·10년 방식 합의
- 삼성, 3개월 만에 해외 채무보증 8조원 감소...왜?
- 삼성전자, 갤럭시 탭 S11·S25 FE 독일서 첫선
- 삼성·SK 반도체 설비투자 34조 효과…소부장 랠리 기대감
-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VDE 리얼 블랙 인증 획득
- 대만 반도체 업계, 한국에도 투자?...용인 클러스터 선택지 부상
- SK하이닉스, 네이버클라우드와 AI메모리 검증 추진
- 삼성전자판매, 안전보건경영 ISO 45001 인증 획득
- SK하이닉스, 모바일 낸드 'ZUFS 4.1' 양산 공급 개시
- 삼성전자, AI 활용 진학 전략 클래스 운영
- AI 시대 '밀월'...삼성전자, 퀄컴 스냅드래곤 서밋 연속 참가
- 삼성전자, One UI 8 공식 버전 업데이트 시작
- SK그룹, 하반기 4000명 채용...AI·반도체 등 사업 확장 분야 중심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0조 전망..."수요 대응력 우위"
- SK하이닉스, AI 메모리 전 품목 호황...3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
- '더블 레버리지' 효과 삼성전자...3분기 환율 보너스만 1.6조 전망
- SK하이닉스, OCP서 AI용 낸드 라인업 발표
- SK하이닉스, 메모리 중심 AI 인프라 재편....부품 공급→시스템 설계 파트너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