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산업국제박람회 내 삼성전자 부스 [사진: 삼성전자]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내 삼성전자 부스 [사진: 삼성전자]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7일부터 29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나란히 참가해 AI 기반 에너지 기술을 선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박람회는 'Energy for AI & AI for Energy'를 주제로 진행된다. 양사는 각각 차별화된 AI 에너지 솔루션으로 기후 위기 대응 기술력을 과시했다.

삼성전자는 전시공간 입구 중앙에 대형 LED 파사드를 설치하고 기후 변화 흐름을 시각화한 영상을 상영했다. AI 절약모드와 통합 모니터링, 개인화, 빌딩 에너지 관리 솔루션 등을 주요 테마로 전시를 구성했다. 스마트싱스의 AI 절약모드를 통해 최대 60%까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체험 공간에서 시연했다.

'에너지 세이빙' 존에서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건조기, TV 등 주요 제품의 현재 에너지 사용량과 월간 예측 사용량을 스크린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거실 공간으로 구현된 'AI 절약모드' 존에서는 비스포크 AI 무풍 콤보 시스템에어컨, Neo QLED TV, 비스포크 AI 에어드레서 등을 한 번에 연동해 AI 절약모드를 활용하는 시연을 진행했다. 개인 생활 패턴에 맞춘 자동화 루틴 설정으로 특정 시간이나 요일에 따라 기기를 자동 제어하는 기능도 소개했다.

주방 공간의 '통합 모니터링' 존에서는 집 안팎에서 언제든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모바일 기기뿐 아니라 냉장고, 세탁건조기, 무빙스타일 등 스크린이 탑재된 모든 제품에서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침실 같은 개인공간에서는 갤럭시 워치, 갤럭시 링 등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한 수면 패턴 데이터를 분석해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식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빌딩 에너지 관리 솔루션인 'b.IoT'를 통해서는 빌딩 공조 상황 파악과 자동화 관리로 최대 15%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그동안 미래 기후를 위한 다양한 에너지 절감 혁신을 선보여 왔다"며 "앞으로도 AI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소비자들의 편의와 혜택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내 LG전자 부스 [사진: LG전자]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내 LG전자 부스 [사진: LG전자]

LG전자는 약 270제곱미터 규모의 부스에 주거, 공공, 상업 시설 맞춤형 HVAC 솔루션 체험 공간을 구성했다. 'AI 엔진'을 적용한 시스템에어컨 '멀티브이 아이(Multi V i)'와 '멀티브이 에스(Multi V S)'를 부스 입구에 배치했다.

AI 엔진은 실내외 온도 변화를 감지해 냉방 세기를 자동 조절하고 실내 환경이 쾌적해지면 절전 모드로 전환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멀티브이 아이는 기존 '멀티브이 슈퍼5' 대비 최대 7.2% 높은 효율을 구현하며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주거 솔루션으로는 '휘센 AI 시스템에어컨'의 'AI 바람' 기능을 소개했다. 사용자의 선호 온도를 학습해 자동 제어하며, 실내 온도가 높을 때는 강력한 바람으로 빠르게 냉방하고 이후 '소프트 바람'으로 전환해 전력 사용을 줄인다. 소프트 바람은 일반 강풍 대비 최대 76%까지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다. 

공공 솔루션으로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인 '4방향 시스템에어컨'과 배출가스 저감 장치를 부착한 '가스식 시스템에어컨(GHP)'을 선보였다. 4방향 시스템에어컨은 글로벌 인증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제품 1대당 14.85킬로그램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검증을 받았다. 상업 솔루션으로는 국내 40평형 제품 중 유일하게 에너지효율 1등급을 획득한 '상업용 스탠드 에어컨'을 전시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부사장)은 "LG전자의 AI 기술과 코어테크를 기반으로 고효율 HVAC 솔루션을 지속 확대해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