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 월드리버티파이낸셜]](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8/587190_546611_4127.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심해 자원 채굴을 본격 추진하면서 국제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간) IT매체 더버지가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미국 및 국제 해역에서 심해 자원 채굴을 신속히 추진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인류의 공동 유산을 상업적 채굴에 개방하려는 조치로 사실상 국제 규범을 우회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다. 현재 미국 정부는 한 캐나다 기업의 채굴 허가 신청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심해 자원 채굴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2021년이다.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나우루가 메탈스 컴퍼니(The Metals Company)를 지원해 니켈·코발트·망간 등 배터리에 쓰이는 광물을 포함한 다금속 괴(polymetallic nodules) 채굴을 추진한 것이 계기였다. 나우루는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의 부속 조항을 발동해 국제사회가 채굴 규칙을 마련하도록 압박했다.
이 협약에 따라 만들어진 국제해저기구(ISA)는 지금까지도 채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경제적 피해와 보상 문제를 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유엔해양법협약은 현재 세계 160여개국이 동의했지만, 미국은 여전히 가입하지 않았다.
한편, 심해 자원 채굴에 대한 반대 여론도 거세다. 현재 30개국 이상이 채굴 금지나 유예를 요구하고 있으며 연구자들은 해양 생태계에 미칠 피해가 되돌리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장비 사용· 퇴적물 먼지·소음 등으로 인해 생태계가 광범위하게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채굴을 추진하는 측은 이미 육상 채굴 과정에서 산림 파괴·지역 사회 이주·아동 노동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심해로의 자원 개발이 상대적으로 나은 대안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핵심 광물 공급망에서 중국의 우위를 견제해야 한다며 채굴 추진에 힘을 실어 왔다. 하지만 ISA는 기업들이 일방적으로 채굴에 나설 경우 이는 협약 위반일 수 있다고 보고 조사에 착수했다.
국제 사회는 여전히 심해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채굴을 강행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미국과 기업들의 일방적 행보를 경계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美 은행, 여전히 암호화폐 기업 계좌 차단…규제 완화 언제쯤
- 트럼프, 환경 데이터 검열 본격화…기후 변화 보고서 폐기
- 美 환경청, 온실가스 규제 철회…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은?
- 트럼프의 무역전쟁, 탄소 배출 감소로 이어질까
- 트럼프 행정부, 심해광물 채굴 승인 움직임…환경 보호냐 경제 이익이냐
- 트럼프 "美 신규 풍력 발전기 건설 막을 것"…기존 환경 정책 압박
- 브이아이피자산운용, CJ프레시웨이 지분 5.43% 확보
- 트럼프 대통령, 디지털세 규제국에 추가 관세 경고…"반드시 철회해야"
- 트럼프, 국방부 명칭 '전쟁부'로 변경…전사 정신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