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정반대의 에너지 전략을 택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8/586734_546234_11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과 중국이 에너지 정책에서 정반대의 길을 걷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전기차 매체 클린테크니카가 보도했다.
올해 상반기 미국의 석탄 발전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증가해 2022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원인은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다. 2025년 초 미국산 천연가스가 유럽과 아시아로 대량 수출되면서 국내 가격이 60% 이상 상승했다. 이에 따라 발전소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석탄을 선택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 가스 수출 장벽을 낮추고 국내 공급을 제한한 결과 가스 가격이 더 올라가면서 석탄이 경제적으로 더 매력적인 선택이 됐다.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석탄 소비를 2.6% 줄이는 동시에 전력 수요는 5% 늘었다. 그럼에도 공급 차질이 없었던 이유는 대규모 신재생 에너지 투자가 덕분이다. 중국은 태양광·풍력 발전뿐만 아니라 송전망·저장 장치·그리드 등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해 석탄 의존도를 낮췄다.
특히 지난 5월 한 달 동안만 92기가와트(GW)의 태양광 발전이 추가되면서 총용량이 1테라와트(TW)를 돌파했다. 이는 세계 어느 나라도 따라오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는 새로운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 것은 물론, 기존 화석연료 발전을 밀어내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은 2025년 초 6000만톤의 탄소 배출을 줄였다. 반대로 미국은 같은 기간 수백만톤의 탄소를 더 배출해 장기적인 기후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中 신차 판매 5대 중 3대는 전기차…내연기관 종말 가속
- 中 2027년까지 초고속 공공 충전소 10만개 구축한다
- 英 테슬라 전력 공급 반대 여론 확산…'일론 머스크'가 문제
- 美 환경청, 온실가스 규제 철회…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은?
- 트럼프 'OBBBA' 본격 시행…배터리 업계, 위기와 기회 동시에
- 리비안 CEO "美 전기차 시장 정체?…살만 한 차 5개도 안 되니까"
- 캐리, 전환사채 30억원 미지급
- 中 체리, 마티즈 유사 논란 QQ3 전기차로 부활…전기차 시장 정조준
- 美 에너지부, 신재생 에너지 확대 긴급 요청…트럼프 정책과 충돌
- 中 1000m 공중서 전기 생산…차세대 풍력 기술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