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과기정통부]
[사진: 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이 AI 반도체 기술의 치안 분야 적용 전략을 논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방위사업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및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AI 반도체 기반 미래치안기술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경찰청은 지난 5월 '치안 AI 반도체 워킹그룹'을 만들어 AI 반도체를 치안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전략적 기술개발과 과제를 논의했다. 

이를 통해 90일간 총 7차례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총 7개의 현장 수요 기반 과제를 도출했다.

각 과제는 AI 반도체의 고속 연산, 저전력 처리, 실시간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치안 현장의 대응 역량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세미나에는 관계부처 관계자와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해 AI 반도체의 국내외 기술동향과 활용사례를 공유했다.

2부 패널토론에서는 워킹그룹 회의를 통해 도출한 7가지 과제의 소개와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AI 바디캠과 스마트 글래스는 영상보안 및 통신 기능이 탑재된 AI 반도체 디바이스로 소개됐다. 수사 영상의 정보 보호 및 증거 무결성을 확보하는 '증거보안관(Evidence Guardian)' 시스템에 활용된다.

AI 신속 마약검출 키트는 임피던스 분광 기술과 광학 스펙트럼 분석 기술을 결합한 이중 진단 시스템이다. 국산 AI 반도체 모듈에서 실시간 처리되어 현장에서 마약류 존재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기술로 소개됐다.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치안은 우리 국민의 일상과 안전에 직결되는 핵심 영역으로 치안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산 AX 디바이스를 활용한 효율적인 경찰력 제고 및 치안 AX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경찰청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국산 AI 반도체가 치안 분야에 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청 최주원 미래치안정책국장은 "오늘 세미나를 계기로, 치안 현장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AI 반도체 기반 기술전략 수립과 실증 중심의 과제 발굴을 본격화하며, 미래 치안혁신기술의 도입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경찰청 차원의 중장기 전략 수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현장 경찰관들의 대응역량을 뒷받침하는 '현장적용 가능한' 치안기술 개발과 경찰장비 고도화를 고민하고, 첨단 과학기술을 적용한 치안 전략을 지속적으로 확대·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