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13일 자사의 에이전틱 AI 서비스에 활용될 다양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발굴하고,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 'PlayMCP' 플랫폼을 베타 오픈했다고 밝혔다. [사진: 카카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8/584866_544806_2645.png)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시대를 위한 생태계 구축 및 확장에 나선다.
카카오는 13일 자사 에이전틱 AI 서비스에 활용될 다양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발굴하고,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 'PlayMCP' 플랫폼을 베타 오픈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MCP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을 선보이는 첫 사례다.
MCP는 인공지능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도구와 소통하는 방식을 표준화한 통신 규약을 뜻한다. USB 포트 하나로 다양한 전자기기를 연결하듯 AI 모델이 MCP를 통해 외부의 시스템과 손쉽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여러 서비스를 오가지 않고 하나의 서비스에서 수요와 목적에 맞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회사측은 이번 'PlayMCP' 플랫폼 오픈은 카카오가 지향하는 에이전틱 AI 생태계 구축의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카카오가 차별화된 강점으로 지향하고 있는 '일상 AI' 서비스 맥락을 고도화해 가고, 외부 개발자와의 협업을 확대해 AI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layMCP는 오픈 플랫폼으로, 개발자라면 카카오계정을 통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개발자들은 자신이 만든 MCP 서버를 등록하고 실제 대화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테스트해볼 수 있다. 다른 개발자의 MCP와 도구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현재 카카오는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 톡캘린더, 카카오맵, 선물하기, 멜론 등 다양한 MCP 서버와 연결 도구를 테스트용으로 공개해 다양한 실험을 지원하고 있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깊이 이해하고, 필요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시대가 빠르게 도래하고 있다"며 "PlayMCP는 카카오 안팎의 개발자들이 함께 에이전틱 AI의 기획·실험·실행을 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카카오VX, 자회사 테인스밸리 흡수합병
- 카카오, '공공혁신 리포트 2025' 발간…공공부문 활용 38건 담아
- 카카오, 12개 혁신센터와 '카카오 클래스' 진행…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 또 미뤄진 구글 지도 반출 결정…한미 정상회담 후 결론 날까
- 카카오모빌리티, 택시기사 자녀 코딩캠프 4기 성료
- 카카오, 카카오톡 예약하기∙카카오맵에 '편의점 택배' 서비스 오픈
- [블록체인핫이슈] 카카오,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추진
- 리그 오브 레전드, 출시 16년 만에 WASD 조작법 도입…진입 장벽 낮출까
- 카카오, 취향 기반 커머스 플랫폼 '쇼룸' 선봬
- '5분→24시간'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기능 확대…익명성도 강화
- 카카오, 지역 인재 육성 '카카오테크 캠퍼스' 아이디어톤 개최
- '메신저 넘어 플랫폼으로' 변신 선언 카카오톡…AI·광고 동시 승부수
- 카카오맵, 초정밀 한강버스 위치 정보 제공…실시간 이동 경로 확인
- 카카오맵, 정치 악성 리뷰 차단 강화…소상공인 보호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