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환경보호청이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철회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7/581664_542519_2855.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철회하며, 15년간 이어온 전기차 확대 정책이 뒤집혔다.
30일(현지시간)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EV에 따르면, EPA는 기후 변화 대응을 가짜 뉴스로 규정하고, 전기차 의무 판매 비율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했다. EPA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국 트럭협회(ATA)는 "전기트럭 의무화는 공급망을 붕괴시키고 물류비용을 상승시킬 것이다"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결정을 환영했다. 소기업청(SBA)도 "오바마-바이든의 녹색 신화가 종말을 맞았다"며 규제 철회가 1700억달러(약 236조) 이상의 비용을 절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변화는 자동차 업계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970년대 배출가스 규제가 도입되면서 대형 V8 엔진이 축소됐지만, 이후 연료 분사와 전자식 엔진 관리 기술이 발전하며 자동차 성능이 향상된 사례가 있다. 마찬가지로 EPA의 온실가스 규제가 유지됐다면 전기차 기술도 자연스럽게 발전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규제가 철회되면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지속할 여지를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세계 주요 시장이 전기차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미국이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유지한다면 장기적으로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美 공화당, 차량 연비 규제 완화 추진…소비자·환경에 역풍
- 전기차 80% 보급 시대…내연기관 기반 시설 붕괴 가속
- 전기차 시장, 테슬라와 GM의 상반된 전략…누가 승자될까
- 닛산, 美-中 무역전쟁 여파 직격…전기차 생산 차질
- 캘리포니아주 vs 트럼프, 전기차 미래를 건 법적 대결
- 전기차, 태풍 불어도 더 안전한 이유
- 캘리포니아, 전기차 판매 21.6% 돌파…트럼프 리스크에도 상승세
- 트럼프, 환경 데이터 검열 본격화…기후 변화 보고서 폐기
- 트럼프 행정부, 연방 전기차 충전기 자금 다시 가동
- 美 석탄 회귀· 中 신재생 에너지 확대…엇갈린 에너지 전략
- 트럼프, 심해 자원 채굴 강행…국제 협정 무력화 되나
- 美 자동차 시장, 테슬라 위상 '흔들'…포드·토요타 강세
- 트럼프 원조 삭감 후폭풍…아프리카 16개국 피임약 부족 심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