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오 아모데이 앤트로픽 최고경영자(CEO) [사진: 앤트로픽]](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7/578431_540519_2136.pn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인공지능(AI)이 범람하는 시대, 빅테크 최고경영자(CEO)들은 미래 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19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AI가 사무직 일자리를 대폭 개편시킬 것이라는 다리오 아모데이 앤트로픽 CEO의 경고에 샘 알트먼 오픈AI CEO,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등 업계 리더들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다른 AI 기업과 정부가 기술의 위험성을 축소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향후 5년 내 일자리 변화가 급격히 일어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뉴욕타임스(NYT)의 팟캐스트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샘 알트먼 CEO는 "일부 일자리가 사라지겠지만, 사회는 이를 극복할 것이며, 새로운 일자리가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아모데이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으며, AI는 오히려 모든 직업을 변화시키고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빅테크 리더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CEO도 AI가 대량 해고를 초래하기보다는 인력을 보강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짐 팔리 포드 CEO는 AI가 미국 내 절반 이상의 사무직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려를 표했으며, 앤디 재시 아마존 CEO는 생성형 AI 도입으로 인해 일부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며, 새로운 유형의 직업이 생겨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세일즈포스 CEO "AI가 화이트칼라 직업 없앤다는 건 착각"
- 포드 CEO, AI 일자리 재앙 경고…"5년 내 실업률 20% 상승"
- 챗GPT 이후 취업시장 변화…신입 채용 1/3 감소
- 클라르나 CEO "AI, 화이트칼라 일자리 위협…경제 침체 올 수도"
- AI가 만든 취업시장…앤트로픽도 예외 아니다
- 앤트로픽 CEO "AI가 사무직 일자리 절반 없애…5년 내 실업률 최대 20%"
- 앤트로픽 CEO "AI 환각 발생, 인간보다 적어…AGI 걸림돌 아냐"
- 샘 알트먼 "AI 도구 숙달 필수…코딩 대부분 자동화될 것"
- 야후재팬, 전 직원 AI 활용 의무화…2028년까지 생산성 2배 목표
- JP모건 "오픈AI 수익성 확보, 2029년 이후에나 가능"
- 빅테크 실적 발표 앞두고 월가 반응은…AI 투자·무역 불확실성 변수
- 트럼프 "엔비디아 분할 추진했으나 '어렵다' 말 듣고 포기했다"
- 샘 알트먼 "SNS 중독, 아이들 뇌에 심각한 영향"
- 세일즈포스 CEO "AGI 신봉자들, 최면에 걸린 것 같다"
- 세일즈포스 CEO "AI 도입 후 인력 4000명 감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