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온라인 게임 플랫폼 [사진: 벨브]](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7/575324_538423_36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게이브 뉴웰이 설립한 밸브는 ‘하프라이프’와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를 개발했으며, PC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스팀은 2000년대 초 PC 게임 해적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으며, 빠르게 시장의 70%를 점유하며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2021년 인디 개발사 울프파이어 게임즈와의 소송 문서 유출로 스팀의 수익 구조가 공개됐고, 당시 연간 수익은 20억달러, 영업이익은 12억~13억달러로 추정됐다. 밸브의 직원 수는 336명에 불과하지만, 1인당 영업이익은 350만달러(약 48억원)에 달한다. 이는 페이스북, 애플 등 빅테크 기업은 물론 월가 금융사도 압도하는 수치다.
밸브의 성공에는 ‘관리자가 없는’ 독특한 기업문화가 한몫했다. 공식적인 직급이나 계층이 없으며, 직원들은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협력할 동료를 찾아가며 업무를 진행한다. 하지만 이 같은 구조는 신작 개발이 더딘 문제를 초래하며, 직원 평가 제도가 단기 성과 중심으로 흐르는 부작용도 있다.
또한, 밸브는 반독점법 관련 소송과 스팀 포럼의 극단주의 문제로 비판받고 있으며, 창업자 뉴웰은 최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을 설립하며 게임 부문 경영에서 멀어지고 있다. 밸브는 스팀을 통해 게임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꿨지만, 독특한 기업문화가 장기적인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도파민 중독자 주목…'스팀 넥스트 페스트' 강력 추천 게임 4선
- 스팀OS, 레노버 리전 고 S 공식 지원…생태계 확장 시동
- 닌텐도 스위치2 vs. 스팀덱…전격 비교해보니
- 밸브, 타 게임기에 '스팀OS' 지원 시작…개방형 OS 시대 여나
- "살 사람은 샀다" 스팀덱, 400만대 팔려…점유율 50% 육박
- "게임 시장 어렵네…" 아마존, 스팀을 이기지 못한 까닭
- '데스티니 라이징' 모바일 출시…새로운 가디언의 전설이 열린다
- 스팀, UI 대규모 업데이트…접근성·커스터마이징 기능 강화
- 암호화폐 범죄, e스포츠 유튜브까지 침투…밸브도 타격
- 스팀, 개인 캘린더 기능 추가…게임 관리 더 쉬워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