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취약점을 악용한 북한 해커의 활동이 감지됐다 [사진: 셔터스톡]
미국 IT기업에 위장 치업한 북한 국적자 4명이 기소됐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정부가 자국 정보기술(IT) 기업에 원격 근로자로 위장 취업한 북한인 4명을 기소했다.

1일(현지시간) 온라인 매체 기가진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는 북한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의 위장 취업에 사용된 이른바 '노트북 농장'(laptop farm) 29곳을 적발하고 북한 국적자 4명을 기소했다. 이들은 2021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80여 명의 미국인 신원을 도용해 100개 이상의 미국 기업에 위장 취업한 혐의를 받는다.

이번에 적발된 노트북 농장들은 16개 주에 산재해 있었고, 북한 노동자들은 불법 자금 세탁을 위해 금융계좌와 사기성 웹사이트들을 활용했다. 이에 미 법무부는 금융계좌 29개와 웹사이트 21개에 대해서도 동결 조치했다. 범인 조력 혐의 등으로 기소된 뉴저지주 출신의 미국 국적자 왕전싱은 노트북 농장을 운영하며 해외 금융망을 연결해준 대가 등으로 총 69만6000달러(약 9억4000만원)를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 

신분을 도용해 미국 기업에 원격 근로자로 위장 취업한 북한인들은 미국 기업의 기밀 정보를 포함해 거액의 암호화폐를 빼돌려 북한 정부에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 기업들은 컴퓨터 네트워크 복구 비용 등을 포함해 최소 300만달러(약 40억6000만원)의 손실을 봤는데, 이 중엔 포천지 선정 500대 기업도 포함돼 있어 우려를 자아냈다.

미 법무부는 "이 작전은 미국 기업을 표적으로 한 절도 행위이며, 북한의 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키워드

#북한 #해커 #해킹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