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라이즈 2025 디노티시아 부스 [사진: 디노티시아]](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6/573241_536672_1359.jpe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디노티시아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넥스트라이즈 2025에 참가한다고 26일 밝혔다.
넥스트라이즈는 KDB산업은행과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벤처기업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페어다. 회사는 이번 행사를 통해 대표 제품을 선보이고 국내외 투자자 및 산업 파트너와의 협력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정무경 디노티시아 대표는 행사 첫날 '모델의 시대를 넘어: 데이터가 이끄는 AI 혁명'을 주제로 Rise Stage 발표에 나선다. 디노티시아는 '누구나 접근 가능한 보편적 AI'를 구현한다는 기술 철학 아래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는 AI 기술을 개발해 왔다.
최근 생성형 AI 시장이 고도화됨에 따라 모델 중심에서 데이터 기반 기술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디노티시아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이러한 기술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성능 벡터 데이터베이스 '씨홀스'와 개인용 LLM 디바이스 '니모스'를 소개한다. CB 인사이트가 발표한 '2025 AI 100'에 선정된 디노티시아는 이번 참가를 통해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서 상용화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씨홀스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고차원 벡터로 색인하고 유사도 기반의 시맨틱 검색을 지원하는 고성능 벡터 데이터베이스다. 최근 세계 최초로 MCP기반 RAGOps기능을 통합한 SaaS형 플랫폼 '씨홀스 클라우드'의 클로즈 베타를 시작했다.
니모스는 디노티시아가 자체 개발한 LLM 파운데이션 모델 '디엔에이'와 초경량 추론 엔진 '에테르'를 탑재한 소형 엣지 디바이스다. 서버나 인터넷 연결 없이 로컬 환경에서 텍스트 생성, 코드 생성, 문맥 기반 응답까지 다양한 AI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40억 파라미터 규모의 모델이 소비자용 GPU 환경에서도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양자화 기술을 적용했다.
정무경 대표는 "LLM은 이제 모델 크기의 스케일링에서 데이터 검색과 인퍼런스 회수의 스케일링으로 발전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며 "데이터 검색의 발전과 함께 온디바이스 AI 시대가 한발 더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키워드
#디노티시아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디노티시아, 윈스테크넷과 AI 에이전트 보안 협력 MOU
- 디노티시아·누리인포스, AI 솔루션 공동개발 MOU
- 과기정통부, AI반도체 인재양성 성균관대·연세대 선정
- 디노티시아, 북미서 온디바이스 LLM '니모스' 첫 공개
- 디노티시아, AI 엑스포서 개인용 AI '니모스' 첫 일반 공개
- 정부, AI 기반 K-클라우드 기술 개발 본격화...사업 수행사 선정
- 디노티시아, CB 인사이트 '글로벌 AI 100' 선정
- '작은 AI, 큰 성능'...디노티시아 "미래는 거대 모델 아닌 데이터 시스템"
- 디노티시아, SSD 기반 RAG 성능 8.5배 향상 기술 공개
- 디노티시아, 한국어 특화 에이전틱 AI 연계 언어모델 'DNA 2.0' 공개
- 디노티시아, 검찰 AI반도체 기술유출 기소에 "독자기술" 해명
- 디노티시아, 벡터DB 통합형 AI 워크스테이션 공개
- 디노티시아, 한국 문화유산 데이터셋으로 ACM 논문 채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