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6/572633_536176_142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은행 검사에서 '평판 리스크'를 제거하고, 보다 구체적인 금융 리스크 논의로 대체한다고 발표했다고 2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크립토가 전했다.
이번 조치는 은행 감독 지침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암호화폐 업계는 이를 '디뱅킹' 문제 해결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디뱅킹'은 은행이 극단적 정치 성향을 가진 계좌나 사기 위험이 높은 계좌를 폐쇄하는 관행을 의미한다.
연준은 "이번 변화는 은행들이 강력한 리스크 관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기대를 바꾼다는 의미가 아니며, 은행들이 자체 리스크 관리에서 평판 리스크를 고려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친암호화폐 성향을 가진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은 "큰 진전이지만 아직 할 일이 남아있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연준의 이번 결정은 미국 통화감독청(OCC)과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은행 검사에서 평판 리스크를 배제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팀 스콧은 평판 리스크가 은행 감독의 요소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한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암호화폐 업계는 FTX 붕괴 이후 바이든 행정부가 암호화폐 기업과 금융기관의 관계를 차단하려 했다고 주장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또한 바이든 행정부가 "암호화폐 기업과 은행의 계좌를 강제로 폐쇄하게 만들었다"고 비난한 바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비트코인 공급 93% 고갈…마이클 세일러의 한 수 있을까
- 스트래티지, 11주 연속 비트코인 매입…신중한 행보?
- 美 상원, 스테이블코인법 통과 후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논의 본격화
- "아무도 멈출 수 없다"…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가 매수 암시
- 중동 확전 긴장 고조에 암호화폐 시장 폭락…3일간 15억달러 청산
- 비트코인, 연준 긴축·중동 리스크에도 기업 수요 '굳건'
- 8000만원이 400억원으로…12년 만에 수익실현한 비트코인 투자자 등장
- 폴리마켓, 이란·NBA 관련 베팅 활발…전체 거래량은 감소세
- 글로벌 지정학 이슈에도 암호화폐 투자 열기 지속…10주 연속 순유입
- 이더리움, 대폭락 직전 단계?…조정 가능성 커졌다
- 암호화폐 하락 멈춘 '국제 정치'…비트코인·이더 되살아났다
- 솔라나·도지코인 잠금 해제…일주일간 8943만달러 규모 토큰 풀린다
- 암호화폐 사업 금지 법안, 美 상원 제출…대통령·고위관료 대상
- 美 신시아 루미스 의원, 암호화폐 소액 거래 세금 면제 법안 추진

